분류 전체보기 1994

19. 자장... 3 子夏之

* 子夏之門人問交於子張 子張曰 子夏云何 對曰 子夏曰 可者與之 其不可者拒之 子張曰 異乎吾所聞 君子尊賢而容衆 嘉善而矜不能 我之大賢與 於人何所不容 我之不賢與 人將拒我 如之何其拒人也 * 자하지문인문교어자장 자장왈 자하운하 대왈 자하왈 가자여지 기불가자거지 자장왈 이호오소문 군자존현이용중 가선이긍불능 아지대현여 어인하소불용 아지불현여 인장거아 여지하기거인야 * 자하의 문인이 자장에게 교유에 대해 물었다.자장: "자하는 뭐라고 하던가?"자하의 문인: "자하는 '괜찮은 사람과 함께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거부하라'고 했습니다."자장: "내가 아는 것과 다르네. 군자는 어진 사람을 받들되 대중을 포용하고, 선한 사람을 기리되 그렇지 못한 사람을 불쌍히 여긴다네. 내가 충분히 어질면 남을 포용하지 못할 게 없고, 내가..

논어 2024.12.08

18. 미자... 11 周公

* 周公謂魯公曰 君子不施其親 不使大臣怨乎不以 故舊無大故則不棄也 無求備於一人 * 주공위로공왈 군자불시기친 불사대신원호불이 고구무대고즉불기야 무구비어일인 * 주공이 노공에게 말했다. "군자는 족친을 소홀히 하지 않고, 신하가 쓰이지 않는다고 불평하지 않게 하고, 연고가 오랜 자는 큰 허물이 없으면 버리지 않고, 한 사람에게 갖춰져 있기를 바라지 않는다."   * * 君子(군자)= 여기서는 '군주(임금)'를 말한다.* 施(시)= 여기서는 '늦추다' '내버려두다'. 弛(이).* 故舊無大故(고구무대고)= 앞의 故는 '연고', 뒤의 故는 '허물'. * * 노공(魯公)= 주공(周公)의 아들. 노(魯) 나라의 1대 임금. 이름은 백금(伯禽). *

논어 2024.12.08

18. 미자... 10 太師

* 太師摯適齊 亞飯干適楚 三飯繚適蔡 四飯缺適秦 鼓方叔入於河 播鼗武入於漢 少師陽擊磬襄入於海 * 태사지적제 아반간적초 삼반료적채 사반결적진 고방숙입어하 파도무입어한 소사양격경양입어해 * 악사장 지는 제 나라로 갔고, 아반 간은 초 나라로 갔고, 삼반 요는 채 나라로 갔고, 사반 결은 진 나라로 갔고, 북 치는 숙은 황하로 갔고, 땡땡이 흔드는 무는 한수로 갔고, 악사 양과 경 치는 양은 바다로 갔다.   * * 適(적)= 가다.* 亞飯(아반), 三飯(삼반), 四飯(사반)= 각 식사 때마다 연주를 하는 악사.* 播(파)= 까부르다(흔들다).* 鼗(도)= 땡땡이(작은 북). 북의 자루를 잡고 회전하며 흔들면 북 몸체에 연결된 끈에 달린 구슬이 북 가죽을 친다.  *

논어 2024.12.08

18. 미자... 9 逸民

* 逸民 伯夷 叔齊 虞仲 夷逸 朱張 柳下惠 少連 子曰 不降其志 不辱其身 伯夷叔齊與 謂柳下惠少連 降志辱身矣 言中倫 行中慮 其斯而已矣 謂虞仲夷逸 隱居放言 身中淸 廢中權 我則異於是 無可無不可 * 일민 백이 숙제 우중 이일 주장 류하혜 소련 자왈 불항기지 불욕기신 백이숙제여 위류하혜소련 항지욕신의 언중륜 행중려 기사이이의 위우중이일 은거방언 신중청 폐중권 아즉이어시 무가무불가 * '일민은 백이, 숙제, 우중, 이일, 주장, 유하혜, 소련이다.'공자가 말했다. "뜻을 내려놓지 않고 몸을 욕되게 하지 않은 것은 백이와 숙제였다." 유하혜와 소련에 대해 말했다. "뜻을 내려놓고 몸을 욕되게 했지만, 말이 사리에 맞고 행동이 사려에 맞았다. 그런 정도였다." 우중과 이일에 대해 말했다. "은거하면서 말을 마음대로 했지..

논어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