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3-C * 常使民無知無欲 使夫智者不敢爲也爲無爲 則無不治 * 상사민무지무욕 사부지자불감위야위무위 즉무불치 * 백성들을 무지· 무욕하게 하고, 잘난 자들이 설치지 않게 하라.무위하면 다스리지 못할 게 없다. * 도덕경 2024.12.10
도덕경 3-B * 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弱其志 强其骨 * 성인지치 허기심 실기복약기지 강기골 * 성인의 다스림은 (백성의) 마음을 비우고 배를 채우고,뜻을 약하게 하고 뼈를 강하게 한다. * * 心(심), 志(지)= 유심(唯心).* 腹(복), 骨(골)= 유물(唯物). * 도덕경 2024.12.10
도덕경 3-A * 不尙賢 使民不爭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不見可慾 使民心不亂 * 불상현 사민불쟁불귀난득지화 사민불위도불현가욕 사민심불란 * 똑똑한 걸 숭상하지 않으면 백성들이 싸우지 않는다.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중히 여기지 않으면 백성들이 도둑이 되지 않는다.욕심낼 만한 것을 내보이지 않으면 민심이 어지러워지지 않는다. * * 見[현]= 보이다. * 도덕경 2024.12.10
도덕경 2-D * 萬物作焉而不辭生而不有爲而不恃功成而不居 夫唯不居 是以不去 * 만물작언이불사생이불유위이불시공성이불거 부유불거 시이불거 * (자연은) 만물을 만들고는 생색 내지 않고,낳고는 그것을 소유하지 않고,위해 주고는 그것에 의지하지 않고,공을 이루고는 거기에 머무르지 않는다. 머무르지 않으므로 떠날 일이 없다. * * 辭(사)= 여기서는 '말하다'.* 恃(시)= 믿다. 의지하다. * 도덕경 2024.12.10
도덕경 2-C * 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 성인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 성인은 무위의 일에 처하고, 말 없는 가르침을 행한다. * * 無爲(무위)= 하지 않다. 작위(인위)가 없다. * 도덕경 2024.12.10
도덕경 2-B * 有無相生難易相成長短相形高下相傾音聲相和前後相隨 * 유무상생난이상성장단상형고하상경음성상화전후상수 * 있음과 없음은 서로 생기게 하고,어려움과 쉬움은 서로 이루고,길고 짧음은 다른 형태를 보이고,높고 낮음은 서로 기울고,소리들은 조화하고,앞과 뒤는 서로 따른다. * 도덕경 2024.12.10
도덕경 2-A *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 세상 사람들이 모두 아름답다고 알면 그것은 아름답지 않다.세상 사람들이 모두 선하다고 알면 그것은 선하지 않다. * * 天下(천하)= 여기서는 '세상의 사람(人)'. * 도덕경 2024.12.10
도덕경 1-B * 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徼 此兩者 同出而異名 同謂之玄玄之又玄 衆妙之門 * 상무욕이관기묘 상유욕이관기요 차량자 동출이이명 동위지현현지우현 중묘지문 * 의욕을 부리지 않으면 원리를 보고, 의욕을 부리면 현상을 본다. 이 둘은 같은 데서 나왔는데 이름이 다르다. 합쳐서 그윽하다고 한다.그윽하고 그윽하니, 온갖 묘한 것으로 통하는 문이다. * * 妙(묘)= 미묘하다. 오묘하다. 여기서는 '원리(原理)' '속'으로 번역해 본다.* 徼(요)= 돌다. 변방. 샛길. 여기서는 妙(묘)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쓰였다. '현상(現象)' '겉'으로 번역해 본다. 도덕경에서 여기에 한 번 나온다.* 玄(현)= 검다. 깊다. 고요하다. * 도덕경 2024.12.10
도덕경 1-A * 道可道 非常道名可名 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 도가도 비상도명가명 비상명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 도는 도이지만, 언제까지나 그 도가 아니다.이름은 이름이지만, 언제까지나 그 이름이 아니다. 천지의 시작 때는 이름이 없었는데, 만물이 생기면서 이름도 생겨났다. * 도덕경 2024.12.10
20. 요왈... 7 孔子 * 孔子曰 不知命 無以爲君子也 不知禮 無以立也 不知言 無以知人也 * 공자왈 불지명 무이위군자야 불지례 무이립야 불지언 무이지인야 * 공자가 말했다. "천명을 모르면 군자가 되지 못한다. 예를 모르면 서지 못한다. 말을 모르면 사람을 알지 못한다." * 논어 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