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548

1. 학이... 7 子夏

* 子夏曰 事父母 能竭其力 事君 能致其身 與朋友交 言而有信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 자하왈 사부모 능갈기력 사군 능치기신 여붕우교 언이유신 수왈미학 오필위지학의 * 자하가 말했다. "부모를 모시는데 힘을 다하고, 임금을 섬기는데 몸을 다하고, 벗과 사귀는데 말이 믿음직하면.. 그가 배우지 않았다 하더라도, 나는 그를 배운 이로 치겠다." * * 事(사)= 모시다. 섬기다. * 竭(갈)= 다하다. * * 자하(子夏)= 공자의 제자. 성은 복(卜), 이름은 상(商). *

논어 2024.04.02

1. 학이... 4 曾子

*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 증자가 말했다. "나는 늘 세 가지로 나를 살펴본다. 남의 일을 봐주면서 성실했나? 벗과 사귀면서 미더웠나? 가르쳐 받은 것을 잘 익혔나?" * * 忠(충)= 여기서는 '성실하다'. * * 증자(曾子)= 공자의 제자. 성은 증(曾), 이름은 삼(參). *

논어 2024.04.02

1. 학이... 2 有子

* 有子曰 其爲人也孝悌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悌也者 其爲仁之本與 * 유자왈 기위인야효제이호범상자 선의 불호범상이호작란자 미지유야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 유자가 말했다. "그 위인이 효성스럽고 공순하면서 상부를 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다. 상부를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리를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는 없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며,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긴다. 효성과 공순은 인의 근본이 된다." * * 悌(제)= 공순하다. * 鮮(선)= 여기서는 '드물다'. * * 유자(有子)= 공자의 제자. 성은 유(有), 이름은 약(若). *

논어 2024.04.02

1. 학이(學而)... 1

*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悅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 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불지이불온 불역군자호 * 공자가 말했다. "배우고 수시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 벗이 먼데서 오면 즐겁지 않겠는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평정하면 군자이지 않겠는가?" * * 不亦~乎(불역~호)= ~가 아니겠는가? ~이지 않겠는가? * 自(자)= ~부터. from. * 慍(온)= 성내다. *

논어 2024.04.02

논어의 등장 인물

** [공자(孔子)] 성은 공(孔), 이름은 구(丘).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BC 552~479년 (73세). 약간의 벼슬을 하고, 주변 나라들을 편력하고, 여러 제자들을 두었다. 사후에 후학들이 언행록 를 편찬했다. ** [제자] ** 민자건(閔子騫)= 성은 민(閔), 이름은 손(損). 자건(子騫)은 자. ** 번지(樊遲)= 성은 번(樊), 이름은 지(遲) 또는 수(須). ** 사마우(司馬牛)= 성은 사마(司馬), 이름은 우(牛). ** 안회(顔回)= 성은 안(顔), 이름은 회(回) 또는 연(淵). 공자보다 일찍 죽었다. ** 염백우(冉伯牛)= 성은 염(冉), 이름은 경(耕). 백우(伯牛)는 자. ** 염유(冉有)= 성은 염(冉), 이름은 유(有) 혹은 구(求). ** 원사(原思)= 성은 ..

논어 2019.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