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刻意尙行 離世異俗 高論怨誹 爲亢而已矣
각의상행 리세이속 고론원비 위항이이의
뜻을 새겨서 행동을 고상하게 하고, 세속을 멀리하고, 목소리를 높여 불평하면.. 치받는 것이다.
此山谷之士 非世之人 枯槁赴淵者之所好也
차산곡지사 비세지인 고고부연자지소호야
이는 산속의 인사와 세상을 비난하는 인사와 비쩍 마른 채 시골에 사는 자들이 좋아한다.
語仁義忠信 恭儉推讓 爲修而已矣
어인의충신 공검추양 위수이이의
인의와 성실을 말하고, 검소하고 양보하면.. 수신하는 것이다.
此平世之士 敎誨之人 遊居學者之所好也
차평세지사 교회지인 유거학자지소호야
이는 세상을 보듬는 인사와 남을 가르치는 인사와 조용히 글 읽는 자들이 좋아한다.
語大功 立大名 禮君臣 正上下 爲治而已矣
어대공 립대명 례군신 정상하 위치이이의
공적을 말하고, 명예를 세우고, 군신의 예를 차리고, 상하 위계를 바르게 하면.. 다스리는 것이다.
此朝廷之士 尊主强國之人 致功倂兼者之所好也
차조정지사 존주강국지인 치공병겸자지소호야
이는 조정의 인사와 임금을 받들어 나라를 튼튼히 하는 인사와 전공을 세워 영토를 넓히는 자들이 좋아한다.
就藪澤 處閑曠 釣魚閑處 無爲而已矣
취수택 처한광 조어한처 무위이이의
숲으로 가서 너른 땅에 살고, 한가로이 낚시를 하면.. 무위하는 것이다.
此江海之士 避世之人 閑暇者之所好也
차강해지사 피세지인 한가자지소호야
이는 강가에 사는 인사와 세상을 피하는 인사와 한가한 자들이 좋아한다.
吹呴呼吸 吐故納新 熊經鳥伸 爲壽而已矣
취구호흡 토고납신 웅경조신 위수이이의
호흡으로 묵은 것을 내쉬고 새것을 들이쉬고, 곰처럼 걷고 새처럼 몸을 펴면.. 장수하는 것이다.
此導引之士 養形之人 彭祖壽考者之所好也
차도인지사 양형지인 팽조수고자지소호야
이는 도인술을 하는 인사와 양생하는 인사와 팽조처럼 장수하는 자들이 좋아한다.
若不刻意而高 無仁義而修 無功名而治 無江海而閑 不導引而壽 無不忘也 無不有也
약불각의이고 무인의이수 무공명이치 무강해이한 불도인이수 무불망야 무불유야
뜻을 새기지 않으면서 고상하고, 인의가 없으면서 수신하고, 공적과 명예가 없이 다스리고, 강가에 살지 않으면서 한가하고, 도인술을 하지 않으면서 장수한다면.. 모두 잊고서 다 가진다.
澹然無極而衆美從之 此天地之道 聖人之德也
담연무극이중미종지 차천지지도 성인지덕야
마냥 담박하여 온갖 좋은 것(高 修 治 閑 壽 따위)이 따르니, 이것이 천지의 도이자 성인의 덕이다.
*
* 誹(비)= 헐뜯다(비방하다).
* 亢(항)= 겨루다. 올라가다.
* 非世(비세)의 非(비)= 비난하다.
* 赴淵(부연)= 오지에 가다.
淵(연)= 못. 웅덩이. 조용하다.
* 平世(평세)= 세상을 다스리다.
* 誨(회)= 가르치다.
* 倂兼(병겸)= 영토 확장. 정복.
倂(병)= 아우르다. 합치다.
* 藪(수)= 숲.
* 吹(취), 呴(구), 呼(호)= 숨을 내쉬다.
* 吸(흡)= 숨을 들이쉬다.
* 經(경)= 지나다.
* 導引(도인)= 체조.
* 壽考(수고)= 장수하다.
考(고)= 여기서는 '오래 살다'.
* 澹(담)= 싱겁다. 조용하다. 담박하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각의... 3 (0) | 2025.02.10 |
---|---|
15. 각의... 2 (0) | 2025.02.10 |
14. 천운... 22C (0) | 2025.02.09 |
14. 천운... 22B (0) | 2025.02.09 |
14. 천운... 22A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