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29. 도척... 2D

정덕수 2024. 10. 30. 09:45

*

 

滿苟得曰

만구득왈

만구득이 말했다.

 

小盜者拘 大盜者爲諸侯 諸侯之門 義士存焉

소도자구 대도자위제후 제후지문 의사존언

"작은 도둑은 옥에 갇히고, 큰 도둑은 제후가 됩니다. 제후의 집에 의사(義士)가 있습니다. 

 

昔者 桓公小白殺兄入嫂 而管仲爲臣 田成子常殺君竊國 而孔子受幣

석자 환공소백살형입수 이관중위신 전성자상살군절국 이공자수폐

옛날에 환공 소백은 형을 죽이고 형수를 아내로 맞았는데, 관중은 그의 신하가 되었고.. 전성자 상은 임금을 죽이고 나라를 훔쳤는데, 공자는 그가 준 예물을 받았습니다. 

 

論則賤之 行則下之

론즉천지 행즉하지

말로는 천하다고 하면서 행동으로는 그 밑에 들어갔습니다. 

 

則是言行之情 悖戰於胸中也 不亦拂乎

즉시언행지정 패전어흉중야 불역불호

이것은 언행의 성정이 가슴 속에서 어그러진 것이니 어찌 잘못된 게 아니겠습니까?

 

故書曰 孰惡孰美 成者爲首 不成者爲尾

고서왈 숙악숙미 성자위수 불성자위미

그래서 글에서 말하기를 '누가 악하고 누가 선한가? 이기는 자는 머리가 되고, 지는 자는 꼬리가 된다.'고 했습니다."

 

*

 

* 幣(폐)= 폐백(예물).

* 下(하)= ~에게 낮추다,

* 悖(패)= 어그러지다.

* 戰(전)= 여기서는 '떨다' '흔들리다'.

* 拂(불)= 털다. 여기서는 '거스르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 도척... 2F  (0) 2024.10.31
29. 도척... 2E  (0) 2024.10.31
29. 도척... 2C  (0) 2024.10.30
29. 도척... 2B  (0) 2024.10.30
29. 도척... 2A  (0) 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