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29. 도척... 2C

정덕수 2024. 10. 30. 09:06

*

 

子張曰

자장왈

자장이 말했다.

 

昔者 桀紂貴爲天子 富有天下 今謂臧聚曰 汝行如桀紂 則有怍色而不服之心者 小人所賤也

석자 걸주귀위천자 부유천하 금위장취왈 여행여걸주 즉유작색이불복지심자 소인소천야

"옛날에 걸· 주는 고귀하기는 임금이 되고, 부유하기는 천하를 가졌지만.. 오늘날 종에게 '너는 꼭 걸· 주처럼 행동하네' 하면 수치스러워하고 불복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은 소인도 (걸· 주를) 천하게 여기기 때문입니다.  

 

仲尼墨翟 窮爲匹夫 今謂宰相曰 子行如仲尼墨翟 則變容易色 稱不足者 士誠貴也

중니묵적 궁위필부 금위재상왈 자행여중니묵적 즉변용역색 칭불족자 사성귀야

중니· 묵적은 궁핍하기가 필부였지만, 오늘날 재상에게 '당신은 꼭 중니· 묵적처럼 행동하는군요' 하면 자세가 달라지면서 자기는 부족하다고 겸손을 떠는 것은 선비가 고귀하기 때문입니다.

 

故勢爲天子 未必貴也 窮爲匹夫 未必賤也

고세위천자 미필귀야 궁위필부 미필천야

그러므로 세력이 임금이더라도 꼭 고귀한 건 아니고, 궁핍하기가 필부더라도 꼭 미천한 건 아닙니다.

 

貴賤之分 在行之美惡

귀천지분 재행지미악

귀천의 구분은 행동의 선악에 있습니다."

 

*

 

* 臧聚(장취)= 종(노복).

  臧(장)= 여기서는 '종(노복)'.

  聚(취)= 모이다. 무리.

* 怍(작)= 부끄러워하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 도척... 2E  (0) 2024.10.31
29. 도척... 2D  (0) 2024.10.30
29. 도척... 2B  (0) 2024.10.30
29. 도척... 2A  (0) 2024.10.30
29. 도척... 1Q  (0) 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