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馬蹄可以踐霜雪 毛可以禦風寒 齕草飮水 翹足而陸 此馬之眞性也 雖有義臺路寢 無所用之
마제가이천상설 모가이어풍한 흘초음수 교족이륙 차마지진성야 수유의대로침 무소용지
말은 발굽으로 서리와 눈을 밟고, 털로 바람과 추위를 막는다. 풀을 뜯고 물을 마시고, 발을 들어 뛰는 것이 말의 본성이다. 대청과 안방이 필요 없다.
及至伯樂曰 我善治馬 燒之剔之 刻之烙之 連之以羈馽 編之以皁棧 而馬之死者 十二三矣
급지백락왈 아선치마 소지척지 각지락지 련지이기칩 편지이조잔 이마지사자 십이삼의
그런데 백락이 '나는 말을 잘 다룬다'고 하며.. 태우고 베고 깎고 지지고, 굴레를 씌우고 고삐를 매달고, 마구간에 몰아넣자.. 죽는 말이 열에 두셋이었다.
飢之渴之 馳之驟之 整之齊之 前有橛飾之患 後有鞭策之威 而馬之死者 已過半矣
기지갈지 치지취지 정지제지 전유궐식지환 후유편책지위 이마지사자 이과반의
굶주리고 목마르고, 달리고 뛰고, 마구를 갖췄다. 앞으로는 가슴걸이가 거치적거리고, 뒤로는 채찍이 다그치니.. 죽는 말이 반이 넘었다.
陶者曰 我善治埴 圓者中規 方者中矩 匠人曰 我善治木 曲者中鉤 直者中繩
도자왈 아선치식 원자중규 방자중구 장인왈 아선치목 곡자중구 직자중승
도공이 말하기를 '나는 찰흙을 잘 다룬다. 둥근 것은 그림쇠에 맞고, 모난 것은 곱자에 맞다'고 한다. 목수가 말하기를 '나는 나무를 잘 다룬다. 굽은 것은 갈고리에 맞고, 곧은 것은 먹줄에 맞다'고 한다.
夫埴木之性 豈欲中規矩鉤繩哉
부식목지성 기욕중규구구승재
찰흙과 나무의 본성이 어찌 그림쇠· 곱자· 갈고리· 먹줄에 맞추려고 하겠는가?
然且世世稱之曰 伯樂善治馬 而陶匠善治埴木 此亦治天下者之過也
연차세세칭지왈 백락선치마 이도장선치식목 차역치천하자지과야
그런데도 대대로 칭하기를 '백락은 말을 잘 다루었고, 도공과 목수는 찰흙과 나무를 잘 다룬다'고 한다. 이것은 천하를 다스리는 자의 잘못과 같다.
吾意 善治天下者不然
오의 선치천하자불연
내 생각에 천하를 잘 다스리는 것은 그렇지 않다.
彼民有常性 織而衣 耕而食 是謂同德一而不黨
피민유상성 직이의 경이식 시위동덕일이불당
백성들은 천성이 있다. 베를 짜서 옷을 해입고, 경작하여 밥을 먹는다. 이를 '덕과 함께하고, 별짓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名曰天放
명왈천방
이른바 '천방'이다.
*
* 蹄(제)= 말발굽.
* 齕(흘)= 깨물다. 씹다.
* 翹(교)= 새의 꽁지. 여기서는 '들어올리다'.
* 陸(륙)= 여기서는 '뛰다(도약하다)'.
* 義臺(의대)= 대청.
* 路寢(로침)= 안방.
* 剔(척)= 베다. 깎다.
* 烙(락)= 불로 지지다.
* 羈馽(기칩)= 굴레.
羈(기)= 굴레. 매다. 고삐. 끌다.
馽(칩)= 고삐.
* 編(편)= 매다. 엮다.
* 皁棧(조잔)= 마구간.
皁(조)= 여기서는 '마구간'.
棧(잔)= 여기서는 '(짐승) 우리'.
* 馳(치)= 달리다.
* 驟(취)= 달리다.
* 橛(궐)= 말뚝. 등걸.
* 鞭策(편책)= 채찍.
鞭(편)= 채찍.
策(책)= 여기서는 '채찍'.
* 埴(식)= 찰흙.
* 中(중)= 여기서는 '들어맞다'.
* 規(규: 그림쇠), 矩(구: 곱자), 鉤(구: 갈고리), 繩(승: 먹줄)= 각각 동그라미, 모서리, 곡선, 직선을 그리는 도구.
* 黨(당)= 여기서는 '기울다' '치우치다'.
* 天放(천방)= 하늘이 해방하다. 자유.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마제... 3 (0) | 2025.01.23 |
---|---|
9. 마제... 2 (0) | 2025.01.23 |
8. 변무... 9 (0) | 2025.01.22 |
8. 변무... 8B (0) | 2025.01.22 |
8. 변무... 8A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