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惠君曰
문혜군왈
문혜군이 말했다.
噫 善哉 技蓋至此乎
희 선재 기개지차호
"어, 잘한다. 솜씨가 어찌 이에 이르렀는가?"
庖丁釋刀對曰
포정석도대왈
소잡이가 칼을 내려놓고 말했다.
臣之所好者道也 進乎技矣
신지소호자도야 진호기의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인데 솜씨에 우선합니다.
始臣之解牛之時 所見無非全牛者 三年之後 未嘗見牛也
시신지해우지시 소견무비전우자 삼년지후 미상견우야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에는 소가 눈에 가득했는데, 3년이 지나자 소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方今之時 臣以神遇 而不以目視
방금지시 신이신우 이불이목시
좀전에도 저는 정신으로 임했지, 눈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官知止 而神欲行
관지지 이신욕행
감각은 멈추고 정신은 내달립니다.
依乎天理 批大郤 導大窾 因其固然
의호천리 비대극 도대관 인기고연
(칼이) 천연의 결에 맞추어서 틈을 비집고 빈곳으로 들어가니 소의 생김새에 따라갑니다.
技經肯綮之未嘗 而況大軱乎
기경긍경지미상 이황대고호
제 솜씨가 소의 힘줄을 건드린 적이 없으니 뼈야 오죽하겠습니까?
良庖歲更刀 割也 族庖月更刀 折也
량포세경도 할야 족포월경도 절야
우수한 소잡이는 1년에 한번 칼을 바꾸는데, 가르기 때문입니다. 흔한 소잡이는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자르기 때문입니다.
今臣之刀 十九年矣 所解數千牛矣 而刀刃若新發於硎
금신지도 십구년의 소해수천우의 이도인약신발어형
제 칼은 10년이 돼갑니다. 소를 수천 마리 잡았지만,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 같습니다.
彼節者有間 而刀刃者無厚 以無厚入有間 恢恢乎其於遊刃 必有餘地矣
피절자유간 이도인자무후 이무후입유간 회회호기어유인 필유여지의
소의 뼈마디는 틈이 있고, 제 칼날은 날카롭습니다. 날카로운 것이 틈 사이로 들어가니 너른 공간에 칼날을 놀리기가 넉넉합니다.
雖然 每至於族 吾見其難爲 怵然爲戒
수연 매지어족 오견기난위 출연위계
그러나 소를 대할 때마다 저는 어려움을 느끼고 두려워하며 경계합니다."
*
* 噫(희)= [감탄사].
* 蓋(개)= 여기서는 '어찌'.
* 官(관)= 여기서는 '이목구비의 기능'.
* 理(리)= 결.
* 郤(극)= 틈.
* 窾(관)= 비다(공허하다).
* 肯綮(긍경)= 힘줄. 腱(건).
肯(긍)= 여기서는 '힘줄'.
綮[경]= 힘줄.
* 軱(고)= 뼈.
* 更(경)= 고치다. 바꾸다.
* 族庖(족포)의 族(족)= 많은. 흔한. 보통의.
* 十九年(십구년)= 9~10년.
* 硎(형)= 숫돌.
* 節(절)= 마디.
* 恢(회)= 넓다.
* 每至於族(매지어족)의 族(족)= 족속. 여기서는 소를 가리킨다.
* 怵(출)= 두려워하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양생주... 4 (0) | 2024.08.02 |
---|---|
3. 양생주... 3C (0) | 2024.08.02 |
3. 양생주... 3A (0) | 2024.08.01 |
3. 양생주... 2 (0) | 2024.08.01 |
3. 양생주(養生主: 양생의 요점)... 1 (0)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