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投棄) * 투기(投棄)= 던져서 버리다. 投: 던질 투 棄: 버릴 기 [예문] 쓰레기를 투기하다. 담배 꽁초를 투기하다. [비교] 투기(投機)= 기회(機會)를 엿보고 돈을 대다(투자하다).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21
태동 * 태동(胎動)= 태아가 꿈틀거리다. 胎: 아이 밸 태 動: 움직일 동 태동은 낌새를 보이는 단계이다. '태어나다'는 아니다. [예문] 반란의 기운이 태동하다.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21
탐닉 * 탐닉(耽溺)= 흠뻑 빠지다. 貪(탐낼 탐)이 아니다. 耽: 즐길 탐 溺: 빠질 닉 [예문] 화초에 탐닉하다. 등산에 탐닉하다. [耽이 들어간 말] 탐독(耽讀). 탐미주의(耽美主義). [溺(닉)이 들어간 말] 익사(溺死).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21
탈피 * 탈피(脫皮)= 1. 곤충이 허물(껍질)을 벗다. 2. 벗어나다. 脫: 벗을 탈 皮: 가죽 피 [예문] 구습을 탈피하다. 침체에서 탈피하다. [비슷한 말] 탈각(脫殼). 殼: 껍질 각.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21
탄로 * 탄로(綻露)= 옷솔기가 터져서 속이 드러나다. 綻: 옷솔기 터질 탄 露: 드러날 로 [예문] 거짓말이 탄로나다. [綻(탄)이 들어간 말] 파탄(破綻).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21
탁발승 * 탁발승(托鉢僧)= 동냥하는 중. 托: 맡길 탁 鉢: 그릇 발 '탁발'은 '그릇을 내밀다' 쯤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삭발(削髮: 머리를 깎다)과는 물론 상관 없다.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21
클럽과 구락부 * 클럽(club)을 구락부(俱樂部)라고 할 때도 있었다. 원음을 빌려서 한자를 표기한 것이다. 이것을 음역(音譯) 또는 음차(音借)라고 한다. 우리가 쓰는 말 중에는 이런 것이 많다. 기독교(基督敎)는 크리스트교(Christ敎)에서 왔고, 열반(涅槃)은 니르바나(nirvana)에서 왔다. 낭만(浪漫)은 로망(rom..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21
쾌척과 희사 * 쾌척(快擲)과 희사(喜捨)는 비슷한 말이다. '기꺼이 내놓는다'는 말이다. [예문] 전재산을 쾌척하다. 전재산을 희사하다. 快: 쾌할 쾌 擲: 던질 척. [擲이 들어간 말] 투척(投擲). 喜: 기쁠 희 捨: 버릴 사. [捨가 들어간 말] 취사(取捨)선택.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21
칩거 * 칩거(蟄居)= 틀어박혀 살다. 蟄: 숨을 칩 居: 살 거 蟄은 벌레가 겨울에 활동을 중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부수가 虫(벌레 충)이다. [蟄이 들어간 말] 경칩(驚蟄)= 24절기의 하나. 봄이 되어 겨울잠(蟄)을 자던 동물들이 놀라(驚) 깨어난다고 한다.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