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孔子曰
공자왈
공자가 말했다.
丘聞之 天下有三德
구문지 천하유삼덕
"제가 듣기에 세상에는 세 가지 덕이 있습니다.
生而長大 美好無雙 少長貴賤見而皆悅之 此上德也
생이장대 미호무쌍 소장귀천견이개열지 차상덕야
나면서부터 건장하고 더없이 잘 생겨 노소· 귀천이 보고 모두 좋아하면 윗길의 덕입니다.
智維天地 能辨諸物 此中德也
지유천지 능변제물 차중덕야
지혜가 천지를 엮고 사물을 분별하면 중간의 덕입니다.
勇悍果敢 聚衆率兵 此下德也
용한과감 취중솔병 차하덕야
용감하고 대차서 무리를 모아 병력을 거느리면 아랫길의 덕입니다.
人有此一德者 足以南面稱孤矣
인유차일덕자 족이남면칭고의
사람이 이런 덕이 하나만 있어도 임금이 되기에 족합니다.
今將軍兼此三者 身長八尺二寸 面目有光 脣如激丹 齒如齊貝 音中黃鐘 而名曰盜跖
금장군겸차삼자 신장팔척이촌 면목유광 순여격단 치여제패 음중황종 이명왈도척
지금 장군은 이 셋을 겸하여.. 키는 여덟자 두치이고, 얼굴은 빛이 나고, 입술은 새빨갛고, 치아는 조개처럼 가지런하고, 음성은 악기 같은데.. 이름하여 도척입니다.
丘竊爲將軍恥 不取焉
구절위장군치 불취언
저는 속으로 장군을 부끄럽게 여기고 탐탁치 않습니다.
將軍有意聽臣 臣請
장군유의청신 신청
장군이 제 말을 들을 의향이 있다면, 제가 청하기는..
南使吳越 北使齊魯 東使宋衛 西使晉楚
남사오월 북사제로 동사송위 서사진초
남쪽으로 오· 월나라, 북쪽으로 제· 노나라, 동쪽으로 송· 위나라, 서쪽으로 진· 초나라에 사신으로 가고..
爲將軍 造大城數百里 立數十萬戶之邑
위장군 조대성수백리 립수십만호지읍
장군을 위해 수백 리의 성을 짓고, 수십 만 가구의 도읍을 세우고..
尊將軍爲諸侯 與天下更始 罷兵休卒
존장군위제후 여천하갱시 파병휴졸
장군을 제후로 높여 천하를 새로 시작하고, 전쟁이 그치도록 하겠습니다.
收養昆弟 恭祭先祖 此聖人才士之行 而天下之願也
수양곤제 공제선조 차성인재사지행 이천하지원야
형제를 부양하고 조상의 제사를 모시는 것은 성인· 재사가 할 일이며 또한 천하가 바라는 바입니다."
*
* 維(유)= 여기서는 '매다' '묶다'.
* 辨(변)= 분별하다.
* 悍(한)= 사납다.
* 南面(남면)= 임금의 좌향.
* 孤(고)= 임금의 자칭.
* 激(격)= 세차다. 과격하다.
* 齊(제)= 가지런하다.
* 中(중)= 들어맞다.
* 黃鐘(황종)= 악기.
* 竊(절)= 여기서는 '가만히'.
* 昆(곤)= 맏이. 형.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 도척... 1G (0) | 2024.10.30 |
---|---|
29. 도척... 1F (0) | 2024.10.29 |
29. 도척... 1D (0) | 2024.10.29 |
29. 도척... 1C (0) | 2024.10.28 |
29. 도척... 1B (0)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