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昔周之興 有士二人 處於孤竹 曰伯夷叔齊
석주지흥 유사이인 처어고죽 왈백이숙제
옛날에 주나라가 흥기할 때에 두 인사가 고죽에 살았는데 백이와 숙제였다.
二人相謂曰 吾聞西方有人 似有道者 試往觀焉
이인상위왈 오문서방유인 사유도자 시왕관언
두 사람이 서로 말하기를 '서방의 어떤 사람이 도가 있다고 하니 찾아가 보자'고 했다.
至於岐陽 武王聞之 使叔旦往見之
지어기양 무왕문지 사숙단왕견지
(두 사람이) 기양에 이르니, 무왕이 그걸 알고 숙단을 시켜 만나도록 했다.
與盟曰 加富二等 就官一列 血牲而埋之
여맹왈 가부이등 취관일렬 혈생이매지
(숙단이) 약속하기를 '녹봉은 2급으로 하고 벼슬은 1급으로 하겠다'고 하고, 희생을 죽여 땅에 묻었다.
二人相視而笑曰
이인상시이소왈
백이와 숙제는 마주보고 웃으며 말했다.
噫 異哉 此非吾所謂道也
희 이재 차비오소위도야
"아이고, 이상하다. 이것은 우리가 말하는 도가 아니다.
昔者神農之有天下也 時祀盡敬而不祈喜 其於人也 忠信盡治而無求焉
석자신농지유천하야 시사진경이불기희 기어인야 충신진치이무구언
옛날에 신농이 천하를 가졌을 때는.. 절기마다 제사에 정성을 다하면서 복을 빌지 않았고, 백성을 성실하게 다스리면서 무얼 요구하지 않았다.
樂與政爲政 樂與治爲治
락여정위정 락여이위치
오로지 즐거움으로 정치를 하였다.
不以人之壞 自成也 不以人之卑 自高也 不以遭時 自利也
불이인지괴 자성야 불이인지비 자고야 불이조시 자리야
남을 쓰러뜨려 자기를 이루지 않았고, 남을 낮춰 자기를 높이지 않았고, 때를 노려 자기를 이롭게 하지 않았다.
今周見殷之亂而遽爲政 上謀而下行貨 阻兵而保威 割牲而盟以爲信 揚行以說衆 殺伐以要利 是推亂以易暴也
금주견은지란이거위정 상모이하행화 조병이보위 할생이맹이위신 양행이설중 살벌이요리 시추란이역포야
지금 주나라는 은나라의 혼란을 틈타 정치에 뛰어들어서는.. 위로는 모의를 하고 아래로는 돈을 뿌리고, 군대에 의지하여 위세를 부리고, 희생을 죽여 맹세하는 것을 신의로 삼고, 분위기를 띄워 대중을 설득하고, 무력으로 이익을 찾는다. 이것은 폭력으로 혼란을 대신하는 것이다.
吾聞 古之士 遭治世 不避其任 遇亂世 不爲苟存
오문 고지사 조치세 불피기임 우란세 불위구존
우리가 듣기에 '옛날의 인사는 치세를 만나 임무를 피하지 않았고, 난세를 만나 구차하게 살지 않았다'고 한다.
今天下暗 殷德衰 其竝乎周以塗吾身也 不如避之以潔吾行
금천하암 은덕쇠 기병호주이도오신야 불여피지이결오행
지금 천하는 어둡고 은나라의 운명은 다했다. 주나라와 함께하여 몸을 더럽히기보다는 차라리 도망해서 우리를 깨끗하게 하자."
二子北至於首陽之山 遂餓而死焉
이자북지어수양지산 수아이사언
두 사람은 북으로 수양산에 이르러 마침내 굶어 죽었다.
*
* 遽(거)= 급히. 갑자기.
* 阻兵(조병)= 군대에 의지하다.
阻(조)= 험하다. 여기서는 '의지하다' '의거하다' '믿다'.
* 要(요)= 구하다. 요하다.
* 推亂以易暴(추란이역포)= 혼란을 밀어내고 폭력을 그 자리에 채우다. 폭력을 써서 혼란을 밀어내다. 以暴推亂(이포추란). 以暴易暴(이포역포: 폭력을 폭력으로 대신한다).
推(추)= 밀다.
亂(란)= 어지럽다. 혼란.
易(역)= 바꾸다.
暴(포)= 사납다. 횡포. 폭력(暴力).
* 苟(구)= 여기서는 '구차하다'.
* 塗(도)= 진흙. 여기서는 '더럽히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 도척(盜跖: 도적 척)... 1A (0) | 2024.10.28 |
---|---|
28. 양왕... 20B (0) | 2024.10.28 |
28. 양왕... 19 (0) | 2024.10.28 |
28. 양왕... 18 (0) | 2024.10.27 |
28. 양왕... 17B (0) | 2024.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