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23. 경상초... 2B

정덕수 2024. 9. 30. 15:24

*

 

南榮趎請入就舍 召其所好 去其所惡

남영추청입취사 소기소호 거기소악

남영추가 숙소에 들기를 청하여, 좋은 것을 취하고 나쁜 것을 버렸다. 

 

十日自愁 復見老子

십일자수 부견로자

열흘간 재계하고 다시 노자를 만났다.

 

老子曰

로자왈

노자가 말했다.

 

汝自洒濯 熟哉鬱鬱乎

여자세탁 숙재울울호

"그대는 잘 씻고 성숙해졌군.

 

然而其中津津乎 猶有惡也

연이기중진진호 유유악야

그러나 속에 나쁜 게 그득하다.

 

外韄者 不可繁而捉 將內揵

외획자 불가반이착 장내건

밖을 묶인 자가 제대로 조르지 못하면 안을 틀어막고,

 

韄者 不可繆而捉 將外揵

내획자 불가무이착 장외건

안을 묶인 자가 제대로 얽지 못하면 바깥을 틀어막는다.

 

韄者 道德不能持 而況放道而行者乎

외내획자 도덕불능지 이황방도이행자호

안팎을 묶인 자는 도덕을 지니지 못하는데, 도를 내버리고 가는 자야 오죽하랴."

 

*

 

* 洒[세]= 씻다.

* 鬱(울)= 여기서는 '우거지다' '성하다'(좋은 모양).

* 津(진)= 여기서는 '넘치다'(나쁜 모양).

* 韄(획)= 묶다. 매다.

* 繁[반]= 조르다.

* 捉(착)= 쥐다.

* 揵(건)= 막다. 닫다.

* 繆(무)= 얽다.

* 放(방)= 여기서는 '내버리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경상초... 2D  (0) 2024.10.02
23. 경상초... 2C  (0) 2024.09.30
23. 경상초... 2A  (0) 2024.09.30
23. 경상초... 1E  (0) 2024.09.30
23. 경상초... 1D  (0) 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