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種有幾 得水則爲繼
종유기 득수즉위계
생물은 생명의 씨앗이 있는데, 물을 얻으면 (생명이) 이어진다.
得水土之際 則爲蛙蠙之衣 生於陵屯 則爲陵舃
득수토지제 즉위와빈지의 생어릉둔 즉위릉석
(생명이) 물과 흙을 얻으면 와빈(蛙蠙)의 옷(꺼풀)이 되고, 땅에서 나면 능석(陵舃)이 된다.
陵舃得鬱棲 則爲烏足
릉석득울서 즉위오족
능석이 양분을 얻으면 오족(烏足)이 된다.
烏足之根爲蠐螬 其葉爲胡蝶
오족지근위제조 기엽위호접
오족의 뿌리는 굼벵이가 되고, 그 잎은 나비가 된다.
胡蝶胥也 化而爲蟲 生於竈下
호접서야 화이위충 생어조하
나비가 서로 어울리면 벌레로 변하여 부뚜막에서 난다.
其狀若脫 其名爲鴝掇
기상약탈 기명위구철
그것이 탈피하면 이름이 구철(鴝掇)이다.
鴝掇千日爲鳥 其名爲乾餘骨
구철천일위조 기명위건여골
구철은 천일이 지나면 새가 되는데, 이름이 건여골(乾餘骨)이다.
乾餘骨之沫爲斯彌
건여골지말위사미
건여골의 거품은 사미(斯彌)가 된다.
斯彌爲食醯
사미위식혜
사미는 식초가 된다.
頤輅生乎食醯 黃軦生乎九猷 瞀芮生乎腐蠸 羊奚生乎不筍
이로생호식혜 황항생호구유 무예생호부권 양해생호불순
이로(頤輅)는 식초에서 나고, 황항(黃軦)은 구유(九猷)에서 나고, 무예(瞀芮)는 부권(腐蠸)에서 나고, 양해(羊奚)는 불순(不筍)에서 난다.
久竹生靑寧 靑寧生程 程生馬 馬生人
구죽생청녕 청녕생정 정생마 마생인
구죽(久竹)은 청녕(靑寧)을 낳고, 청녕은 정(程)을 낳고, 정은 마(馬)를 낳고, 마는 사람을 낳는다.
人又反入於機
인우반입어기
사람은 다시 자연계로 돌아간다.
萬物皆出於機 皆入於機
만물개출어기 개입어기
만물은 자연에서 나와 자연으로 들어간다.
*
* 種(종)= 씨. 종류.
* 幾(기)= 빌미. 조짐. 고동. 기틀.
* 際(제)= 때. 경우.
* 蛙(와)= 개구리.
* 蠙(빈)= 펄조개. 물이끼.
* 舃(석)= 신(신발).
* 鬱棲(울서)= 영양분.
鬱(울)= 우거지다.
棲(서)= 살다.
* 蠐(제)= 굼벵이.
* 螬(조)= 굼벵이.
* 胥(서)= 서로. 다.
* 竈(조)= 부엌. 부뚜막.
* 鴝(구)= 새 이름.
* 掇(철)= 줍다.
* 醯(혜)= 초.
* 頤(이)= 턱.
* 輅(로)= 수레.
* 軦(항)(황)= 벌레 이름.
* 猷(유)= 꾀.
* 瞀(무)= 흐리다.
* 芮(예)= 작은 모양. 물가.
* 蠸(권)= 노린재.
* 筍(순)= 죽순.
* 機(기)= 틀. 기계. 여기서는 '자연' '자연계'를 가리킨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달생... 1B (0) | 2025.02.18 |
---|---|
19. 달생(達生: 생명에 통달하다)... 1A (0) | 2025.02.18 |
18. 지락... 18 (0) | 2025.02.17 |
18. 지락... 17C (0) | 2025.02.17 |
18. 지락... 17B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