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闉跂支離無脣 說衛靈公 靈公悅之而視全人
인기지리무순 설위령공 령공열지이시전인
인기지리무순이 위나라 영공에게 유세하자, 영공이 기뻐하여 그를 온전한 사람으로 보았다.
其脰肩肩
기두견견
그(인기지리무순)는 목을 뻣뻣이 세웠다.
甕㼜大癭 說齊桓公 桓公悅之而視全人
옹앙대영 설제환공 환공열지이시전인
옹앙대영이 제나라 환공에게 유세하자, 환공이 기뻐하여 그를 온전한 사람으로 보았다.
其脰肩肩
기두견견
그(옹앙대영)는 목을 뻣뻣이 세웠다.
故德有所長 而形有所忘
고덕유소장 이형유소망
이처럼 덕성(내면)에 장점이 있으면 그 신체(의 단점)는 잊힌다.
人不忘其所忘 而忘其所不忘 此之謂誠忘
인불망기소망 이망기소불망 차지위성망
사람들은 잊을 걸 잊지 않고, 잊지 않을 걸 잊는다. 이것을 '모조리 다 잊는다'고 한다.
*
* 闉跂支離無脣(인기지리무순)= 절름발이에다 언청이.
闉(인)= 성문. 막다. 굽다.
跂(기)= 발. 밟다. 나아가다.
支(지)= 갈리다.
離(리)= 가르다.
脣(순)= 입술.
* 脰(두)= 목.
* 肩肩(견견)= 꼿꼿하다. 뻣뻣하다.
肩(견)= 어깨. 여기서는 '똑바른 모양'.
* 甕㼜大癭(옹앙대영)= 곱사등이에다 혹부리.
甕(옹)= 항아리.
㼜(앙)= 항아리.
癭(영)= 혹.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덕충부... 7 (0) | 2025.01.14 |
---|---|
5. 덕충부... 6 (0) | 2025.01.14 |
5. 덕충부... 4E (0) | 2025.01.14 |
5. 덕충부... 4D (0) | 2025.01.14 |
5. 덕충부... 4C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