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부가 공자에게 하는 말.)
人有八疵 事有四患 不可不察也
인유팔자 사유사환 불가불찰야
사람에게는 여덟 가지 흠이 있고, 일에는 네 가지 탈이 있으니.. 잘 살펴봐야 한다.
非其事而事之 謂之摠
비기사이사지 위지총
자기 일이 아닌데 일하는 것을 도맡는다고 하고,
莫之顧而進之 謂之佞
막지고이진지 위지녕
주의하지 않고 말하는 것을 말이 많다고 하고,
稀意道言 謂之諂
희의도언 위지첨
맘이 없으면서 말하는 것을 아첨이라고 하고,
不擇是非而言 謂之諛
불택시비이언 위지유
시비를 가리지 않고 말하는 것을 아부라고 하고,
好言人之惡 謂之讒
호언인지악 위지참
남의 결점을 말하기 좋아하는 것을 헐뜯는다고 하고,
析交離親 謂之賊
석교리친 위지적
교제를 끊고 친교를 떠나는 것을 해친다고 하고,
稱譽詐僞 以敗惡人 謂之慝
칭예사위 이패악인 위지특
거짓으로 칭찬하여 남을 망치는 것을 못돼 먹었다고 하고,
不擇善否 兩容頰適 偸拔其所欲 謂之險
불택선부 량용협적 투발기소욕 위지험
선악을 가리지 않고 양다리를 걸치면서 욕심을 부리는 것을 음험하다고 한다.
此八疵者 外以亂人 內以傷身 君子不友 明君不臣
차팔자자 외이란인 내이상신 군자불우 명군불신
이 여덟 가지 흠은 밖으로는 남을 어지럽히고, 안으로는 자신을 다치니.. 군자는 벗으로 삼지 않고, 임금은 신하로 쓰지 않는다.
好經大事 變更易常 以掛功名 謂之叨
호경대사 변경역상 이괘공명 위지도
일을 만들고 기왕의 틀을 바꾸어 이름을 내거는 것을 외람되다고 하고,
專知擅事 侵人自用 謂之貪
전지천사 침인자용 위지탐
혼자서만 알고 멋대로 하면서 남의 것을 자기 용도로 쓰는 것을 탐욕이라고 하고,
見過不更 聞諫愈甚 謂之很
견과불경 문간유심 위지흔
잘못을 알고도 고치지 않고 말을 들으면 더욱 심하게 구는 것을 심술궂다고 하고,
人同於己則可 不同於己 雖善不善 謂之矜
인동어기즉가 불동어기 수선불선 위지긍
남이 자기와 같으면 좋아하고 자기와 다르면 무조건 나쁘다고 하는 것을 잘난 체한다고 한다.
此四患也
차사환야
이것이 네 가지 탈이다.
能去八疵 無行四患 而始可敎已
능거팔자 무행사환 이시가교이
여덟 가지 흠과 네 가지 탈을 없이하면 그제서야 그를 가르칠 수 있다.
*
* 疵(자)= 흠. 허물.
* 患(환)= 탈.
* 摠(총)= 總(모두 총)과 같다.
* 進(진)= 여기서는 '말하다'.
* 佞(녕)= 말이 많다.
* 道(도)= 여기서는 '말하다'.
* 諂(첨)= 아첨하다.
* 諛(유)= 아부하다.
* 讒(참)= 헐뜯다. 참소하다.
* 析(석)= 쪼개다.
* 敗惡(패악)~= 해치다. 망치다.
* 慝(특)= 사특하다.
* 兩容(량용)= 양쪽을 받아들이다. 양다리를 걸치다.
* 頰適(협적)= 뺨을 갖다대다. 비위를 맞추다.
頰(협)= 뺨.
適(적)= 맞다. 마땅하다.
* 偸(투)= 훔치다. 탐내다.
* 拔(발)= 빼다. 뽑다.
* 掛(괘)= 걸다. 걸쳐놓다.
* 叨(도)= 탐하다. 욕되게 하다. 외람하다.
* 擅(천)= 멋대로 하다.
* 愈(유)= 더욱.
* 很(흔)= 거칠다. 사납다. 심술궂다.
* 矜(긍)= 뽐내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어부... 1F (0) | 2024.11.04 |
---|---|
31. 어부... 1E (0) | 2024.11.04 |
31. 어부... 1C (0) | 2024.11.03 |
31. 어부... 1B (0) | 2024.11.03 |
31. 어부(漁父)... 1A (0) |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