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子貢還 報孔子
자공환 보공자
자공이 돌아와서 공자에게 보고하니,
孔子推琴而起曰
공자추금이기왈
공자는 줄악기를 밀쳐놓고 일어나서 말했다.
其聖人與
기성인여
"그는 성인이다."
乃下求之 至於澤畔
내하구지 지어택반
(공자는) 내려서서 어부를 찾다가 물가에 이르렀다.
方將杖拏而引其船 顧見孔子 還鄕而立
방장장나이인기선 고견공자 선향이립
(어부는) 삿대를 잡고 배를 끌다가 공자를 보고 돌아섰다.
孔子反走 再拜而進
공자반주 재배이진
공자는 물러나서 재배하고 앞으로 나섰다.
客曰
객왈
어부가 말했다.
子將何求
자장하구
"그대는 무얼 찾는가?"
孔子曰
공자왈
공자가 말했다.
曩者先生有緖言而去 丘不肖 未知所謂
낭자선생유서언이거 구불초 미지소위
"아까 당신이 잠깐 말씀을 하고 갔는데, 제가 못나서 그 뜻을 몰랐습니다.
竊待於下風 幸聞咳唾之音 以卒相丘也
절대어하풍 행문해타지음 이졸상구야
가만히 머리 숙여 기다리오니, 다행히 한 말씀을 들을 수 있다면 저에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客曰
객왈
어부가 말했다.
噫 甚矣 子之好學也
희 심의 자지호학야
"아이고, 그대는 배우기를 참 좋아하는구려."
*
* 子貢還(자공환)의 還(환)= 돌아가다. 돌아오다.
* 杖(장)= 막대기. 여기서는 '노'나 '삿대'를 가리킨다.
* 拏(나)= 당기다. 잡다.
* 還鄕而立(선향이립)의 還[선]= (몸을) 돌리다.
* 鄕(향)= 여기서는 向(방향 향)과 통한다.
* 曩(낭)= 아까.
* 緖(서)= 실마리. 앞.
* 不肖(불초)= 덜됐다. 못나다.
* 竊(절)= 여기서는 '가만히' '삼가'.
* 下風(하풍)= 저자세. 겸손한 자세.
* 咳唾之音(해타지음)= 한 말씀.
咳(해)= 기침.
唾(타)= 침(타액).
* 相(상)= 여기서는 '돕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어부... 1D (0) | 2024.11.04 |
---|---|
31. 어부... 1C (0) | 2024.11.03 |
31. 어부(漁父)... 1A (0) | 2024.11.03 |
30. 설검... 1H (0) | 2024.11.03 |
30. 설검... 1G (0) |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