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智士無思慮之變 則不樂 辯士無談說之序 則不樂 察士無凌誶之事 則不樂
지사무사려지변 즉불락 변사무담설지서 즉불락 찰사무릉수지사 즉불락
머리를 쓰는 인사는 생각할 거리가 없으면 즐겁지 않고, 말을 잘하는 인사는 말할 거리가 없으면 즐겁지 않고, 남을 살피는 인사는 욕할 일이 없으면 즐겁지 않다.
皆囿於物者也
개유어물자야
모두 사물에 갇혀 있다.
招世之士興朝 中民之士榮官 筋力之士矜難 勇敢之士奮患 兵革之士樂戰 枯槁之士宿名 法律之士廣治 禮敎之士敬容 仁義之士貴際
초세지사흥조 중민지사영관 근력지사긍난 용감지사분환 병혁지사락전 고고지사숙명 법률지사광치 례교지사경용 인의지사귀제
세간에서 불려온 인사는 조정에서 우쭐대고, 민간에서 뽑힌 인사는 자리를 자랑하고, 힘이 센 인사는 난리에 뽐내고, 용감한 인사는 환란에 떨치고, 군인은 전쟁을 즐기고, 선비는 명예에 매달리고, 법률의 인사는 통치를 넓히고, 예교의 인사는 모습을 중시하고, 인의의 인사는 인간관계를 귀히 여긴다.
農夫無草萊之事 則不比 商賈無市井之事 則不比
농부무초래지사 즉불비 상고무시정지사 즉불비
농부는 농사가 아니면 관심 없고, 상인은 장사가 아니면 관심 없다.
庶人有旦暮之業 則勤 百工有器械之巧 則壯
서인유단모지업 즉근 백공유기계지교 즉장
서민은 하루 일거리가 있으면 부지런하고, 직공은 기술이 있으면 든든하다.
錢財不積 則貪者憂 權勢不尤 則夸者悲
전재불적 즉탐자우 권세불우 즉과자비
돈이 쌓이지 않으면 부자는 걱정하고, 권세가 붇지 않으면 정치꾼은 슬퍼한다.
勢物之徒樂變 遭時有所用 不能無爲也
세물지도락변 조시유소용 불능무위야
형세를 살피는 무리는 쉽게 변하여.. 때를 만나면 소용 있지만, 무위할 줄 모른다.
此皆順比於歲 不物於易者也
차개순비어세 불물어역자야
이들은 모두 세월에 따라가며, 변화를 살피지 않는다.
馳其形性 潛之萬物 終身不反 悲夫
치기형성 잠지만물 종신불반 비부
몸과 마음을 내달리고 외물에 가라앉아, 종신토록 돌아오지 않으니.. 서글프다.
*
* 序(서)= 여기서는 '실마리'.
* 凌(릉)= 업신여기다.
* 誶(수)= 꾸짖다.
* 囿(유)= 동산. 담. 둘러싸다.
* 矜(긍)= 여기서는 '자랑하다'.
* 際(제)= 여기서는 '사귀다(교제)'.
* 萊(래)= 풀을 베다.
* 比(비)= 따르다. 나란하다.
* 尤(우)= 더욱. 더하다.
* 夸(과)= 허풍 떨다.
* 勢物之徒(세물지도), 不物於易者(불물어역자)의 物(물)= 여기서는 '살피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서무귀... 6 (0) | 2024.10.14 |
---|---|
24. 서무귀... 5 (0) | 2024.10.14 |
24. 서무귀... 3 (0) | 2024.10.14 |
24. 서무귀... 2 (0) | 2024.10.13 |
24. 서무귀... 1C (0) | 202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