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23. 경상초(庚桑楚)... 1A

정덕수 2024. 9. 29. 06:49

*

 

老聃之役有庚桑楚者 偏得老聃之道 以北居畏壘之山

로담지역유경상초자 편득로담지도 이북거외루지산

노담의 제자에 경상초란 자가 있었는데, 노담의 도를 배워 북쪽의 외루산에 자리잡았다.

 

其臣之劃然智者 去之 其妾之挈然仁者 遠之

기신지획연지자 거지 기첩지설연인자 원지

그 하인 중에 썩 똑똑한 자는 떠나고, 그 아내 중에 퍽 착한 자는 멀어졌다.

 

擁腫之與居 鞅掌之爲使

옹종지여거 앙장지위사

헐렁한 자와 지내고 썰렁한 자를 부렸다.

 

居三年 畏壘大穰 畏壘之民 相與言曰

거삼년 외루대양 외루지민 상여언왈

(경상초가) 자리잡은 지 3년 동안 외루에 풍년이 들자 그곳 백성들이 수군거렸다.

 

庚桑子之始來 吾洒然異之

경상자지시래 오선연이지

"경상자가 처음 왔을 때 우리는 그를 심하게 따돌렸다.

 

今吾日計之而不足 歲計之而有餘 庶幾其聖人乎

금오일계지이불족 세계지이유여 서기기성인호

지금 우리는 매일은 빠듯하나 한 해로 치면 넉넉하다. 그는 성인인 것 같다.

 

子胡不相與尸而祝之 社而稷之乎

자호불상여시이축지 사이직지호

우리는 왜 그를 제사장이나 임금으로 모시지 않는가?"

 

*

 

* 役(역)= 여기서는 '수하'.

* 偏(편)= 치우치다.

* 臣(신)= 여기서는 '하인'.

* 劃然(획연)= 분명한 모양.

  劃(획)= 가르다.

* 妾(첩)= 처. 아내.

* 挈然(설연)= 분명한 모양.

  挈(설)= 끌다.

* 擁腫(옹종)= 열등한 모양.

  擁(옹)= 끼다. 안다. 들다.

  腫(종)= 부스럼.

* 鞅掌(앙장)= 열등한 모양.

  鞅(앙)= (우마의) 가슴걸이.

  掌(장)= 손바닥.

* 穰(양)= 풍년 들다.

* 洒然(선연)= 심한 모양.

  洒= [쇄] 뿌리다. 시원하다. [세] 씻다. [선] 엄숙하다. 깊다. 떨다. 놀라다.

* 庶幾(서기)= 가깝다. 아마.

  庶(서)= 여기서는 '가깝다'.

  幾(기)= 여기서는 '가깝다'.

* 子(자)= 여기서는 '우리'.

* 尸祝(시축)= 제관. 제사장.

  尸(시)= 여기서는 '주관하다'.

  祝(축)= 기원하다.

* 社稷(사직)= 나라. 임금.

  社(사)= 토지의 신.

  稷(직)= 곡식의 신.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경상초... 1C  (0) 2024.09.29
23. 경상초... 1B  (0) 2024.09.29
22. 지북유... 40  (0) 2024.09.29
22. 지북유... 39  (0) 2024.09.29
22. 지북유... 38  (0) 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