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孔子問子桑雽曰
공자문자상호왈
공자가 자상호에게 말했다.
吾再逐於魯 伐樹於宋 削迹於衛 窮於商周 圍於陳蔡之間
오재축어로 벌수어송 삭적어위 궁어상주 위어진채지간
"나는 노나라에서 재차 쫓겨나고, 송나라에서 나무가 베이고, 위나라에서 자취가 지워지고, 상나라와 주나라에서 궁지에 몰리고, 진나라와 채나라의 사이에서 포위 당했습니다.
吾犯此數患 親交益疏 徒友益散 何與
오범차수환 친교익소 도우익산 하여
나는 이런 환난을 자주 당하며 친구가 떨어지고 제자들이 흩어지니 어째서입니까?"
子桑雽曰
자상호왈
자상호가 말했다.
子獨不聞假人之亡與
자독불문가인지망여
"당신은 어떤 사람이 도망한 일을 듣지 못했습니까?
林回棄千金之璧 負赤子而趨
림회기천금지벽 부적자이추
임회가 천금의 구슬을 버리고 어린 자식을 업고 달아나니..
或曰 爲其布與 赤子之布寡矣 爲其累與 赤子之累多矣 棄千金之璧 負赤子而趨 何也
혹왈 위기포여 적자지포과의 위기루여 적자지루다의 기천금지벽 부적자이추 하야
누가 '돈으로 치면 아이의 값은 적고, 걱정거리로 치면 아이가 끼치는 걱정은 많은데.. 천금의 구슬을 버리고 자식을 업고 달아나다니 어째서입니까?' 하고 물었습니다.
林回曰 彼以利合 此以天屬也
림회왈 피이리합 차이천촉야
임회는 '그것(구슬)은 이익에 부합하고, 이것(자식)은 하늘이 맡긴 겁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以利合者 迫窮禍患害 相棄也 以天屬者 迫窮禍患害 相收也 相收之與相棄 亦遠矣
이리합자 박궁화환해 상기야 이천촉자 박궁화환해 상수야 상수지여상기 역원의
이익에 부합한 것은 불행이 닥치면 서로 버리고, 하늘이 맡긴 것은 불행이 닥치면 서로 거둡니다. 서로 거두는 것과 서로 버리는 것은 엄청 다릅니다.
且君子之交淡若水 小人之交甘若醴 君子淡以親 小人甘以絶
차군자지교담약수 소인지교감약례 군자담이친 소인감이절
그리고 군자의 교제는 물처럼 밍밍하고, 소인의 교제는 술처럼 달콤합니다. 군자는 밍밍해서 친하고, 소인은 달콤해서 끊습니다.
彼無故以合者 則無故以離
피무고이합자 즉무고이리
까닭 없이 합쳐진 것은 까닭 없이 갈라집니다."
孔子曰
공자왈
공자가 말했다.
敬聞命矣
경문명의
"잘 알아들었습니다."
徐行徜徉而歸 絶學捐書
서행상양이귀 절학연서
(공자는) 가벼운 걸음으로 돌아가서 배움을 끊고 책을 버렸다.
弟子無揖於前 其愛益加進
제자무읍어전 기애익가진
제자들이 (공자에게) 절을 하지 않게 되었지만 그 사랑은 더욱 깊어졌다.
*
* 亡(망)= 여기서는 '달아나다'(도망, 망명).
* 布(포)= 여기서는 '돈'.
* 累(루)= 누. 폐. 걱정.
* 屬(촉)= 맡기다(부탁하다).
* 迫(박)= 몰다. 몰리다.
* 窮禍患害(궁화환해)= 곤궁· 화란· 환난· 재해.
* 徜徉(상양)= 가볍게 걷다.
徜(상)= 노닐다.
徉(양)= 노닐다.
* 揖(읍)= 읍(절)하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산목... 8 (0) | 2025.02.22 |
---|---|
20. 산목... 7 (0) | 2025.02.22 |
20. 산목... 5B (0) | 2025.02.21 |
20. 산목... 5A (0) | 2025.02.21 |
20. 산목... 4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