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孔子圍於陳蔡之間 七日不火食
공자위어진채지간 칠일불화식
공자가 진나라와 채나라의 사이에서 포위되어 이레 동안 밥을 해먹지 못할 때에
太公任往弔之曰
태공임왕조지왈
태공임이 와서 위로하여 말했다.
子幾死乎
자기사호
"당신은 죽을 뻔했습니까?"
曰
왈
공자가 말했다.
然
연
"그렇습니다."
任曰
임왈
태공임이 말했다.
子惡死乎
자오사호
"당신은 죽기가 싫습니까?"
曰
왈
공자가 말했다.
然
연
"그렇습니다."
任曰
임왈
태공임이 말했다.
予嘗言不死之道
여상언불사지도
"내가 죽지 않는 도에 대해 말해 보겠습니다.
東海有鳥焉 其名曰意怠
동해유조언 기명왈의태
동해에 어떤 새가 사는데 이름이 의태입니다.
其爲鳥也 翂翂翐翐而似無能
기위조야 분분질질이사무능
그 새는 비실비실 날아다니고 힘이 도통 없어 보입니다.
引援而飛 迫脅而棲
인원이비 박협이서
끌어주면 날고, 윽박지르면 틀어박힙니다.
進不敢爲前 退不敢爲後
진불감위전 퇴불감위후
나아갈 때는 꼴찌이고, 도망갈 때는 앞장 섭니다.
食不敢先嘗 必取其緖
식불감선상 필취기서
먼저 먹지 못하고 늘 찌꺼기를 차지합니다.
是故 其行列不斥 而外人卒不得害 是以免於患
시고 기행렬불척 이외인졸불득해 시이면어환
그래서 일행이 배척하지 않고, 사람들이 해를 끼치지 않아.. (그 새는) 환난을 면합니다.
直木先伐 甘井先渴
직목선벌 감정선갈
똑바로 선 나무는 먼저 잘리고, 물맛 좋은 우물은 먼저 마릅니다.
子其意者 飾智以驚愚 修身以明汚 昭昭乎如揭日月而行 故不免也
자기의자 식지이경우 수신이명오 소소호여게일월이행 고불면야
아마도 당신은 지혜를 꾸며 못난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자기의) 몸을 닦아 (남의) 더러움을 드러내고, 해와 달을 치어들듯이 환히 행동하여.. (환난을) 면치 못하는가 봅니다.
昔吾聞之大成之人曰 自伐者無功 功成者墮 名成者虧
석오문지대성지인왈 자벌자무공 공성자휴 명성자휴
예전에 내가 성공한 사람에게 듣기에 '스스로 자랑하는 자는 공적이 없고, 공적을 이룬 자는 허물어지고, 이름을 이룬 자는 이지러진다'고 했습니다.
孰能去功與名 而還與衆人
숙능거공여명 이환여중인
누가 공적과 이름을 떠나서 대중에게로 돌아가겠습니까?
道流而不明居 德行而不名處
도류이불명거 덕행이불명처
도는 흘러가서 거소가 분명하지 않고, 덕은 걸어나가 처소를 모릅니다.
純純常常 乃比於狂 削迹捐勢 不爲功名
순순상상 내비어광 삭적연세 불위공명
순수하고 한결같아서 광인인가 싶고, 자취를 없애고 세력을 버려서 공적과 이름을 이루지 않습니다.
是故 無責人 人亦無責焉
시고 무책인 인역무책언
그래서 남을 책망하지 않고, 남으로부터 책망을 받지도 않습니다.
至人不聞 子何喜哉
지인불문 자하희재
지인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는데, 당신은 대체 무엇을 즐기시오?"
孔子曰
공자왈
공자가 말했다.
善哉
선재
"좋은 말입니다."
辭其交遊 去其弟子 逃於大澤
사기교유 거기제자 도어대택
(공자는) 교제를 끊고, 제자들을 내보내고, 깊은 숲속으로 들어가서..
衣裘褐 食杼栗
의구갈 식서률
가죽옷과 베옷을 입고 도토리를 먹고 살았다.
*
* 弔(조)= 위로하다.
* 幾(기)= 가깝다. 거의.
* 予嘗言(여상언)의 嘗(상)= 시도하다.
* 意怠(의태)= '의욕이 없다'는 뜻이다.
* 翂翂翐翐(분분질질)= 새가 힘 없이 나는 모양.
翂(분)= 힘겹게 날다.
翐(질)= 힘겹게 날다.
* 先嘗(선상)의 嘗(상)= 맛보다.
* 緖(서)= 나머지. 찌꺼기.
* 卒(졸)= 무리.
* 先伐(선벌)의 伐(벌)= 베다.
* 其意者(기의자)= 추측하건대. 아마도.
* 自伐者(자벌자)의 伐(벌)= 자랑하다.
* 墮[휴]= 무너지다.
* 虧(휴)= 이지러지다.
* 功與名(공여명)의 與(여)= and.
* 還與衆人(환여중인)의 與(여)= with. together.
* 狂(광)= 1. 미치다. 2. 자유분방하다.
* 澤(택)= 여기서는 '숲'.
* 裘(구)= 가죽옷.
* 褐(갈)= 베옷.
* 杼(서)= 도토리.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산목... 6 (0) | 2025.02.21 |
---|---|
20. 산목... 5B (0) | 2025.02.21 |
20. 산목... 4 (0) | 2025.02.21 |
20. 산목... 3 (0) | 2025.02.21 |
20. 산목... 2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