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19. 달생... 14

정덕수 2025. 2. 19. 11:48

*

 

祝宗人玄端以臨牢篋 說彘曰

축종인현단이림뢰협 설체왈

제관이 예복을 입고 우리로 가서 돼지에게 말했다.

 

吾將三月豢汝 十日戒 三日齋 藉白茅 加汝肩尻乎彫俎之上 則汝爲之乎

오장삼월환여 십일계 삼일재 자백모 가여견고호조조지상 즉여위지호

"내가 석 달동안 너를 먹여서, 열흘 넘게 재계한 후에 돗자리를 깔고, (너를 잡아) 네 몸뚱이를 고급스런 제기 위에 올려놓겠다면.. 너는 그것을 하겠니?"     

 

爲彘謀曰 不如食以糠糟而措之牢篋之中 自爲謀則 苟生有軒冕之尊 死得於腞楯之上 聚僂之中

위체모왈 불여식이강조이조지뢰협지중 자위모즉 구생유헌면지존 사득어전순지상 취루지중

돼지를 위해 꾀를 내기는, 겨와 지게미를 먹더라도 우리 안에서 살아 있는 것이 좋다고 하고.. 자기를 위해 꾀를 내기는, 구차하게 벼슬살이를 함으로써 죽어서 고급스런 관에 누워 많은 사람의 조문을 받으려고 한다. 

 

爲彘謀則去之 自爲謀則取之 所異彘者 何也

위체모즉거지 자위모즉취지 소이체자 하야

돼지에게는 그만두라고 하고, 자기는 그것을 취하니.. (자기를) 돼지와 다르게 하는 건 어째서인가? 

 

*

 

* 祝宗人(축종인)= 제사장. 제관. 

  祝(축)= 신에게 빌다.

* 玄端(현단)= 예복.

  玄(현)= 검다.

  端(단)= 예복.

* 牢篋(뢰협)= (가축의) 우리.

  牢(뢰)= 우리. 

  篋(협)= 상자.

* 彘(체)= 돼지.

* 豢(환)= 가축을 키우다.

* 戒(계)= 재계하다.

* 齋(재)= 재계하다.

* 藉(자)= 깔다.

* 白茅(백모)= 돗자리.

  茅(모)= 띠(풀). 돗자리의 원료가 된다.

* 肩尻(견고)= 몸뚱이.

  尻(고)= 엉덩이.

* 俎(조)= 도마. 제기.

* 糠(강)= 겨(알곡의 껍질).

* 糟(조)= 지게미(술을 거른 곡물의 찌꺼기).

* 措(조)= 두다.

* 苟(구)= 구차하다.

* 軒冕(헌면)= 벼슬.

  軒(헌)= 벼슬아치가 타는 수레.

  冕(면)= 벼슬아치가 쓰는 모자.

* 腞楯(전순)= 잘 꾸민 관(棺).

  腞(전)= 아로새기다(조각하다).

  楯(순)= 난간. 방패. 상.

* 聚僂(취루)= 조문객.

  聚(취)= 모이다. 모으다.

  僂(루)= 몸이 굽다. 구부리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달생... 16  (0) 2025.02.20
19. 달생... 15  (0) 2025.02.20
19. 달생... 13  (0) 2025.02.19
19. 달생... 12  (0) 2025.02.19
19. 달생... 11  (0)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