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惠子相梁 莊子往見之
혜자상량 장자왕견지
혜자가 양나라에서 재상을 맡고 있는데, 장자가 보러 가니..
或謂惠子曰 莊子來 欲代子相
혹위혜자왈 장자래 욕대자상
누가 혜자에게 '장자가 와서 당신을 대신해 재상이 되려고 합니다' 하고 말했다.
惠子恐 搜於國中三日三夜
혜자공 수어국중삼일삼야
혜자가 놀라 (장자를 찾으려고) 사흘 밤낮에 나라를 뒤졌다.
莊子往見之曰
장자왕견지왈
장자가 혜자에게 와서 말했다.
南方有鳥 其名爲鵷鶵
남방유조 기명위원추
"남방에 새가 있는데 원추라고 합니다.
子知之乎 鵷鶵發於南海 而飛於北海 非梧桐不止 非練實不食 非醴泉不飮
자지지호 원추발어남해 이비어북해 비오동불지 비련실불식 비례천불음
당신은 아는지요? 원추는 남해를 떠나 북해로 날아가는데.. 오동(나무)이 아니면 내려앉지 않고, 연실(열매)이 아니면 먹지 않고, 예천(샘물)이 아니면 마시지 않습니다.
於是鴟得腐鼠 鵷鶵過之 仰而視之曰 嚇
어시치득부서 원추과지 앙이시지왈 혁
그런데 올빼미가 썩은 쥐를 물고 있다가, 원추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 소리를 빽 질렀답니다.
今子欲以子之相梁國 嚇我邪
금자욕이자지상량국 혁아야
지금 당신은 양나라의 재상 자리를 가지고 나에게 소리를 지르는 건가요?"
*
* 相(상)= 돕다. 임금을 보좌하다.
* 鵷鶵(원추)= 가상의 새.
* 梧桐(오동)= 가상의 나무.
* 練實(련실)= 가상의 열매.
* 醴泉(례천)= 가상의 샘물.
* 鴟(치)= 올빼미.
* 嚇(혁)= 내지르는 소리.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지락(至樂: 큰 즐거움)... 1 (0) | 2025.02.16 |
---|---|
17. 추수... 8 (0) | 2025.02.16 |
17. 추수... 6 (0) | 2025.02.16 |
17. 추수... 5D (0) | 2025.02.16 |
17. 추수... 5C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