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해약의 말.)
以差觀之 因其所大而大之 則萬物莫不大 因其所小而小之 則萬物莫不小 知天地之爲稊米 毫末之爲丘山 則差數睹矣
이차관지 인기소대이대지 즉만물막불대 인기소소이소지 즉만물막불소 지천지지위제미 호말지위구산 즉차수도의
차이로 보면.. 만물은 크다고 하면 크고, 작다고 하면 작다. 천지가 쌀알이 되고, 터럭이 산이 된다는 걸 알면.. 올바른 차이를 본다.
以功觀之 因其所有而有之 則萬物莫不有 因其所無而無之 則萬物莫不無 知東西之相反 而不可以相無 則功分睹矣
이공관지 인기소유이유지 즉만물막불유 인기소무이무지 즉만물막불무 지동서지상반 이불가이상무 즉공분도의
공적으로 보면.. 만물은 있다고 하면 있고, 없다고 하면 없다. 동서가 반대이면서, 서로 없을 수 없다는 걸 알면.. 올바른 공적을 본다.
以趣觀之 因其所然而然之 則萬物莫不然 因其所非而非之 則萬物莫不非 知堯桀之自然而相非 則趣操睹矣
이취관지 인기소연이연지 즉만물막불연 인기소비이비지 즉만물막불비 지요걸지자연이상비 즉취조도의
취향으로 보면.. 만물은 그렇다고 하면 그렇고, 아니라고 하면 아니다. 요와 걸이 자기 나름이면서, 서로 달랐다는 걸 알면.. 올바른 취향을 본다.
*
* 差(차)= 차이, 差數(차수)= 올바른 차이.
* 稊(제)= 돌피.
* 毫(호)= 가는 털.
* 睹(도)= 보다.
* 功(공)= 공적, 功分(공분)= 올바른 공적.
* 趣(취)= 취향, 趣操(취조)= 올바른 취향.
操(조)= 잡다. 부리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추수... 1K (0) | 2025.02.13 |
---|---|
17. 추수... 1J (0) | 2025.02.12 |
17. 추수... 1H (0) | 2025.02.12 |
17. 추수... 1G (0) | 2025.02.12 |
17. 추수... 1F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