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2. 제물론... 13A

정덕수 2025. 1. 1. 06:22

*

 

勞神明爲一 而不知其同也 謂之朝三

로신명위일 이불지기동야 위지조삼

신령에 인간의 지혜를 일치시키려고 애쓰지만, 그것이 같다는 걸 알지 못하니.. 이것을 '아침에 셋'이라고 한다.

 

何謂朝三

하위조삼

'아침에 셋'이 무언가?

 

狙公賦芧曰 朝三而暮四 衆狙皆怒

저공부서왈 조삼이모사 중저개노

원숭이를 먹이는 사람이 도토리를 주면서 "아침에 셋, 저녁에 넷을 줄게" 라고 했더니, 원숭이들이 노여워했다.

 

曰 然則朝四而暮三 衆狙皆悅

왈 연즉조사이모삼 중저개열

그 사람이 "그렇다면 아침에 넷, 저녁에 셋을 줄게" 라고 했더니, 원숭이들이 기뻐했다.

 

名實未虧 而喜怒爲用 亦因是也

명실미휴 이희노위용 역인시야

말로나 실제로나 다를 게 없는데, 기쁨과 노여움이 작용하니.. 이것(같다는 걸 알지 못함) 때문이다.

 

*

 

* 神(신)= 여기서는 '신령' '(신의) 섭리'.

* 明(명)= 여기서는 '(인간의) 지혜'.

* 狙(저)= 원숭이.

* 賦(부)= 나눠주다.

* 芧(서)= 도토리.

* 虧(휴)= 이지러지다.

* 用(용)= 여기서는 '작용하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제물론... 14  (0) 2025.01.01
2. 제물론... 13B  (0) 2025.01.01
2. 제물론... 12  (0) 2025.01.01
2. 제물론... 11  (0) 2024.12.31
2. 제물론... 10  (0) 202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