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哀公問曰 何爲則民服 孔子對曰 擧直措諸枉 則民服 擧枉措諸直 則民不服
*
애공문왈 하위즉민복 공자대왈 거직조저왕 즉민복 거왕조저직 즉민불복
*
애공이 물었다. "어떻게 하면 백성이 복종하겠는가?"
공자가 말했다. "곧은 것을 들어서 굽은 것 위에 놓으면 백성이 복종하고, 굽은 것을 들어서 곧은 것 위에 놓으면 백성이 복종하지 않습니다."
*
* 措(조)= 놓다. 두다.
* 諸[저]= 之於(지어).
* 枉(왕)= 굽다.
*
* 애공(哀公)= 노 나라의 군주. 재위(BC 494~468) 기간은 공자의 사망(BC 479) 전후에 걸친다. 양공(襄公)- 소공(昭公)- 정공(定公)- 애공.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위정... 21 或謂 (0) | 2024.11.12 |
---|---|
2. 위정... 20 季康 (0) | 2024.11.12 |
2. 위정... 18 子張 (0) | 2024.11.12 |
2. 위정... 17 子曰由 (0) | 2024.11.12 |
2. 위정... 16 子曰攻 (0)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