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와 유례 * 유래(由來)= 유서(由緖). 내력(來歷). 어디서 왔는가? 由: 말미암을 유 來: 올 래 [예문] 아리랑의 유래. * 유례(類例)= 비슷한 예(例). 類: 무리 류 例: 본보기 례 [예문] 유례가 드문 사건.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06
유달리 * 유달리(類 -)= 유(類)가 다르게. 類: 무리 류 [예문] 한 아이가 유달리 키가 크다. * 연달아(連 -)= 이어 달아. 잇달아. 連: 이을 련 * 번갈아(番 -)= 차례를 갈아가며. 番: 차례 번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06
월척 * [예문] 월척을 낚다. 월척(越尺)= 한 자가 넘다. 越: 넘을 월 [越이 들어간 말] 추월(追越). 월권(越權). 월동(越冬). 尺: 자 척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06
원두막 * 원두막(園頭幕)= 밭(園)머리(頭)의 막집(幕). [園이 들어간 말] 농원(農園). 과수원(果樹園). [頭가 들어간 말] 부두(埠頭). 가두(街頭). [幕이 들어간 말] 초막(草幕). 주막(酒幕). *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05
요절복통과 포복절도 * 요절복통(腰折腹痛)= (너무 웃느라) 허리가 꺾이고 배가 아플 지경이다. 腰(요)= 허리. 折(절)= 꺾다. 꺾이다. 腹(복)= 배. 痛(통)= 아프다. * 포복절도(抱腹絶倒)= (너무 우스워서) 배를 끌어안고 자빠질 지경이다. 抱(포)= 껴안다. 腹(복)= 배. 絶(절)= 끊다. 뛰어나다. 심히. 倒(도)= 넘어지다. 졸.. 우리말 속 한자어 202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