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以二缶鍾惑 所適不得矣 而今也以天下惑 予雖有祈向 其庸可得邪
이이부종혹 소적불득의 이금야이천하혹 여수유기향 기용가득야
소수가 미혹하여도 목적지에 닿지 못하는데, 지금은 온세상 사람이 미혹하니.. 내가 지향하는 바가 있어도 어찌 이룰 수 있겠는가?
知其不可得而强之 又一惑也 故莫若釋之而不推
지기불가득이강지 우일혹야 고막약석지이불추
이룰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억지를 부리면 또 하나의 미혹이 된다. 그러므로 내려놓고 가만히 있는 게 낫다.
不推 誰其比憂
불추 수기비우
가만히 있으면 누가 걱정으로 애를 태우랴?
*
* 二缶鍾(이부종)= 소량.
缶(부)= 용량의 단위.
鍾(종)= 용량의 단위.
* 庸(용)= 여기서는 '어찌'.
* 比(비)= 여기서는 '친하다' '나란하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천지... 32A (0) | 2025.02.03 |
---|---|
12. 천지... 31 (0) | 2025.02.03 |
12. 천지... 29 (0) | 2025.02.03 |
12. 천지... 28 (0) | 2025.02.03 |
12. 천지... 27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