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彭陽見王果曰
팽양견왕과왈
팽양이 왕과를 만나 말했다.
夫子何不譚我於王
부자하불담아어왕
"당신은 왜 나를 왕에게 말해 주지 않습니까?"
王果曰
왕과왈
왕과가 말했다.
我不若公閱休
아불약공열휴
"나는 공열휴보다 못합니다."
彭陽曰
팽양왈
팽양이 말했다.
公閱休奚爲者邪
공열휴해위자야
"공열휴는 어떤 사람입니까?"
王果曰
왕과왈
왕과가 말했다.
冬則擉鱉於江 夏則休乎山樊 有過而問者 曰此予宅也
동즉착별어강 하즉휴호산번 유과이문자 왈차여택야
"(공열휴는) 겨울에는 강에서 자라를 찔러 잡고, 여름에는 산 기슭에서 쉽니다. 지나가는 사람이 물으면, '여기가 내 집이오' 하고 말합니다.
夷節已不能 而況我乎 吾又不若夷節
이절이불능 이황아호 오우불약이절
(그리고) 이절이 이미 하지 못했는데 내가 어떻게 합니까? 나는 이절보다 못합니다.
夷節之爲人也 無德而有智 不自許以神其交 固顚冥乎富貴之地 非相助以德 相助消也
이절지위인야 무덕이유지 불자허이신기교 고전명호부귀지지 비상조이덕 상조소야
이절의 위인은 덕이 없고 지혜가 있습니다. 자신에게 까다롭게 해서 신통하게 교제를 합니다. 부귀한 자들에게 푹 빠져.. 덕으로 돕지 않고, 함께 잘못돼 갑니다.
凍者假衣於春 暍者反冬乎冷風
동자가의어춘 갈자반동호랭풍
겨울에 몸이 얼었던 자는 봄에 옷을 껴입고, 여름에 더위를 먹었던 자는 겨울에 찬 바람을 쐽니다.
楚王之爲人也 形尊而嚴 其於罪也 無赦如虎
초왕지위인야 형존이엄 기어죄야 무사여호
초나라 왕은 자기 모양을 존엄하게 하면서, 남의 죄에 대해서는 호랑이처럼 가혹합니다.
非佞人正德 其孰能撓焉
비녕인정덕 기숙능뇨언
재주나 덕이 없으면 누가 그를 꺾겠습니까?"
*
* 譚(담)= 이야기하다.
* 擉(착)= 작살. 찌르다.
* 鱉(별)= 자라.
* 樊(번)= 울타리. 끝. 곁.
* 顚冥(전명)= 타락하다.
顚(전)= 넘어지다. 뒤집히다.
冥(명)= 어둡다. 그윽하다.
* 暍(갈)= 더위 먹다.
* 佞(녕)= 재주가 있다. 말재주가 있다.
* 撓(뇨)= 휘다. 꺾다. 어지럽히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칙양... 3 (0) | 2024.10.18 |
---|---|
25. 칙양... 2 (0) | 2024.10.18 |
25. 칙양(則陽)... 1A (0) | 2024.10.18 |
24. 서무귀... 33 (0) | 2024.10.17 |
24. 서무귀... 32 (0) | 202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