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定公問曰 一言而可以興邦 有諸 孔子對曰 言不可以若是 其幾也 人之言曰 爲君難 爲臣不易 如知爲君之難也 不幾乎一言而興邦乎 問曰 一言而喪邦 有諸 曰 言不可以若是 其幾也 人之言曰 予無樂乎爲君 唯其言而莫予違也 如其善而莫之違也 不亦可乎 如不善而莫之違也 不幾乎一言而喪邦乎
*
정공문왈 일언이가이흥방 유저 공자대왈 언불가이약시 기기야 인지언왈 위군난 위신불이 여지위군지난야 불기호일언이흥방호 문왈 일언이상방 유저 왈 언불가이약시 기기야 인지언왈 여무락호위군 유기언이막여위야 여기선이막지위야 불역가호 여불선이막지위야 불기호일언이상방호
*
정공: "한마디 말이 나라를 흥하게 하는 게 있는가?"
공자: "말이 꼭 그렇지는 않지만 그 가까운 것은 있습니다. 누가 말하기를 '임금 노릇 하기 힘들고, 신하 노릇 하기 쉽지 않다'고 합니다. 임금 노릇 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안다면 한마디 말이 나라를 흥하게 하는 데 가깝지 않겠습니까?"
정공: "한마디 말이 나라를 버려놓는 게 있는가?"
공자: "말이 꼭 그렇지는 않지만 그 가까운 것은 있습니다. 누가 말하기를 '임금 노릇 하는 것이 즐겁지 않지만 신하들의 말이 거스르지 않는 것은 기분 좋다'고 합니다. 신하의 옳은 말이 거슬리지 않으면야 괜찮지만, 옳지 않은 말이 거슬리지 않는다면 한마디 말이 나라를 버려놓는 데 가깝지 않겠습니까?"
*
* 諸[저]= 之乎(지호).
* 幾(기)= 가깝다.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자로... 17 子夏 (0) | 2024.11.30 |
---|---|
13. 자로... 16 葉公 (0) | 2024.11.30 |
13. 자로... 14 冉子 (0) | 2024.11.30 |
13. 자로... 13 子曰苟 (0) | 2024.11.30 |
13. 자로... 12 子曰如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