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季康子問政曰 如殺無道以就有道 何如 孔子對曰 子爲政 焉用殺 子欲善而民善矣 君子之德風 小人之德草 草上之風 必偃
*
계강자문정왈 여살무도이취유도 하여 공자대왈 자위정 언용살 자욕선이민선의 군자지덕풍 소인지덕초 초상지풍 필언
*
계강자가 정치에 대해 물었다. "도가 없는 것에 형벌을 주어 도가 있는 데로 나아간다면 어떤가?"
공자가 말했다. "당신은 정치를 한다면서 어찌 형벌을 씁니까? 당신이 선하고자 하면 백성이 선합니다. 군자는 바람이고, 소인은 풀입니다. 풀 위로 바람이 불면, (풀은) 눕습니다."
*
* 如(여)= if.
* 殺(살)= 형벌을 주다.
* 君子(군자)= 다스리는 자.
* 德(덕)= 마음.
* 小人(소인)= 다스림을 받는 자.
* 草上之風(초상지풍)= 風之草上의 도치.
之(지)= 가다(行).
* 偃(언)= 쓰러지다.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안연... 21 樊遲從 (0) | 2024.11.30 |
---|---|
12. 안연... 20 子張 (0) | 2024.11.30 |
12. 안연... 18 季康子患 (0) | 2024.11.29 |
12. 안연... 17 季康子問 (0) | 2024.11.29 |
12. 안연... 16 子曰君 (0) |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