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顔淵子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子路曰 願車馬衣輕裘與朋友共 敝之而無憾 顔淵曰 願無伐善無施勞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
안연자로시 자왈 합각언이지 자로왈 원거마의경구여붕우공 폐지이무감 안연왈 원무벌선무시로 자로왈 원문자지지 자왈 로자안지 붕우신지 소자회지
*
안연과 자로가 공자 곁에 있었다.
공자: "각자 자기 뜻을 말해 보지 않겠니?"
자로: "수레와 가죽옷을 벗과 함께 쓰다가 해지더라도 서운해하지 않겠습니다."
안연: "선행과 공로를 자랑하지 않겠습니다."
자로: "선생님의 뜻을 듣고 싶습니다."
공자: "늙은이들은 안온하고, 젊은이들은 서로 믿고, 어린이들은 희망을 가지는 세상이다."
*
* 盍(합)= 어찌 아니. =何不(하불).
* 爾(이)= you.
* 裘(구)= 가죽옷.
* 敝(폐)= 해지다.
* 憾(감)= 섭섭하다.
* 伐(벌)= 여기서는 '자랑하다'.
* 施(시)= 여기서는 '자랑하다'.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공야장... 28 子曰十 (0) | 2024.11.18 |
---|---|
5. 공야장... 27 子曰已 (0) | 2024.11.18 |
5. 공야장... 25 子曰巧 (0) | 2024.11.18 |
5. 공야장... 24 子曰孰 (0) | 2024.11.18 |
5. 공야장... 23 子曰伯 (0)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