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13. 천도... 7

정덕수 2025. 2. 4. 12:20

*

 

三軍五兵之運 德之末也

삼군오병지운 덕지말야

군대의 운용은 덕의 말단이고,

 

賞罰利害 五刑之辟 敎之末也

상벌리해 오형지벽 교지말야

상벌과 형법은 교화의 말단이고,

 

禮法度數 形名比詳 治之末也

례법도수 형명비상 치지말야

법령· 제도· 포폄· 사찰은 통치의 말단이고,

 

鐘鼓之音 羽旄之容 樂之末也

종고지음 우모지용 악지말야

악기와 깃발은 악(樂)의 말단이고,

 

哭泣絰 隆殺之服 哀之末也

곡읍최질 륭쇄지복 애지말야

상복(喪服)과 상기(喪期)는 상례(喪禮)의 말단이다.

 

此五末者 須精神之運 心術之動 然後從之者也

차오말자 수정신지운 심술지동 연후종지자야

이 다섯 말단은 정신과 마음의 움직임을 기다려 따라간다.

 

末學者 古人有之 而非所以先也

말학자 고인유지 이비소이선야

말단은 옛날 사람들도 배웠지만 내세우지는 않았다. 

 

*

 

* 辟(벽)= 여기서는 '형법'.

* 禮法(례법)= 예(禮)와 법(法). 법령.

* 度數(도수)= 제도.

  度= [도] 제도. [탁] 재다. 헤아리다.

  數(수)= 셈하다. 헤아리다.

* 形名(형명)= 명분(名)과 형편(形). 명분과 형편의 간격. 포폄(褒貶). 평정(評定).

* 比詳(비상)= 사찰(査察).

  比(비)= 견주다.

  詳(상)= 자세하다.

* 旄(모)= 깃발의 일종. 짐승 털로 꾸민다.

* 絰(최질)= 상복(喪服).

  縗(최)= 상복.

  絰(질)= 상복의 수질(首絰: 머리띠)과 요질(腰絰: 허리띠).

* 隆殺之服(륭쇄지복)= 상복을 입는 기간. 상기(喪期).

  隆(륭)= 성하다. 여기서는 '(기간이) 길다'.

  殺[쇄]= 덜다. 여기서는 '(기간이) 짧다'.

  服(복)= 옷. 입다. 여기서는 상복(喪服).

* 須(수)= 여기서는 '기다리다'.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천도... 9  (0) 2025.02.04
13. 천도... 8  (0) 2025.02.04
13. 천도... 6  (0) 2025.02.04
13. 천도... 5  (0) 2025.02.04
13. 천도... 4C  (0)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