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子張問行 子曰 言忠信 行篤敬 雖蠻貊之邦行矣 言不忠信 行不篤敬 雖州里行乎哉 立則見其參於前也 在輿則見其依於衡也 夫然後行 子張書諸紳
*
자장문행 자왈 언충신 행독경 수만맥지방행의 언불충신 행불독경 수주리행호재 립즉견기참어전야 재여즉견기의어형야 부연후행 자장서저신
*
자장이 시행에 대해 물었다.
공자가 말했다. "말이 믿음직하고, 행위가 경건하면.. 야만의 나라에서라도 시행될 것이다. 말이 믿음직하지 않고, 행위가 경건하지 않으면.. 중국의 고을에서라도 시행되겠느냐? 서있을 때에 (말의 믿음직함과 행위의 경건함이) 눈앞에 있는 듯하고, 수레에 탔을 때에 멍에에 기대어 있는 듯이 보이면.. 비로소 시행될 것이다."
자장이 옷띠에 받아적었다.
*
* 子張問行, 雖蠻貊之邦行矣, 雖州里行乎哉, 夫然後行의 行= 일이 행해지다. 시행.
* 行篤敬, 行不篤敬의 行= 몸으로 행하다. 행위.
* 蠻貊(만맥)= 역외. 야만 지역.
貊(맥)= 오랑캐.
* 州里(주리)= 역내. 문명 지역.
* 參(참)= 참여하다. 존재하다.
* 依(의)= 기대다.
* 衡(형)= 수레의 횡목(가로나무). 멍에.
* 諸[저]= 之於(지어).
* 紳(신)= 옷(관복)의 띠.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위령공... 8 子曰可 (0) | 2024.12.03 |
---|---|
15. 위령공... 7 子曰直 (0) | 2024.12.03 |
15. 위령공... 5 子曰無 (0) | 2024.12.03 |
15. 위령공... 4 子曰由 (0) | 2024.12.03 |
15. 위령공... 3 子曰賜 (0)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