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13. 자로... 20 子貢

정덕수 2024. 11. 30. 13:41

*

 

子貢問曰 何如斯可謂之士矣 子曰 行己有恥 使於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曰 敢問其次 曰 宗族稱孝焉 鄕黨稱悌焉 曰 敢問其次 曰 言必信 行必果 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 曰 今之從政者 何如 曰 噫 斗筲之人 何足算也

 

*

 

자공문왈 하여사가위지사의 자왈 행기유치 사어사방 불욕군명 가위사의 왈 감문기차 왈 종족칭효언 향당칭제언 왈 감문기차 왈 언필신 행필과 갱갱연소인재 억역가이위차의 왈 금지종정자 하여 왈 희 두소지인 하족산야

 

*

 

자공: "어떻게 하면 사(士)라고 하겠습니까?"

공자: "행위에 부끄러움을 알고, 외국에 사절로 가서 임금을 욕되게 하지 않으면.. 사라고 할 만하다."

자공: "그 다음은요?"

공자: "친척들이 효성스럽다고 칭하고, 이웃이 공손하다고 칭한다."

자공: "그 다음은요?"

공자: "말에 믿음성이 있고, 행위에 과단성이 있다./ 깽깽거리는 소인들은 그 다음쯤 될 것이다."

자공: "오늘날 위정자들은 어떻습니까?"

공자: "아이쿠, 그런 시시한 것들을 어찌 셈에 넣으랴?" 

 

*

 

* 士(사)= 관리 계층.

* 悌(제)= 공손하다.

* 果(과)= 1. 성과(成果). 2. 과단(果斷).

* 硜(갱)= 돌 부딪는 소리.

* 抑(억)= [접속사] 그러나. 그래도.

* 噫(희)= 감탄사.

斗筲(두소)= 1. 적은 분량. 2. 좁은 도량.

  斗(두)= 말.

  筲(소)= 대(竹) 그릇. 광주리.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자로... 22A 子曰南  (0) 2024.11.30
13. 자로... 21 子曰不  (0) 2024.11.30
13. 자로... 19 樊遲  (0) 2024.11.30
13. 자로... 18 葉公  (0) 2024.11.30
13. 자로... 17 子夏  (0) 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