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20. 산목... 10A

정덕수 2025. 2. 24. 06:09

*

 

莊周遊於雕陵之樊 睹一異鵲自南方來者

장주유어조릉지번 도일이작자남방래자

장주가 조릉 기슭에서 노닐다가, 이상한 까치 한 마리가 남쪽에서 날아오는 것을 보았다.

 

翼廣七尺 目大運寸 感周之顙 而集於栗林

익광칠척 목대운촌 감주지상 이집어률림

까치는 날개 길이가 일곱 자이고, 눈의 폭이 한 치인데.. 장주의 이마를 스치고 밤나무 숲에 내려앉았다.

 

莊周曰

장주왈

장주가 말했다.

 

此何鳥哉 翼殷不逝 目大不睹

차하조재 익은불서 목대불도

"저것은 무슨 새인가? 날개가 커도 잘 날지 못하고, 눈이 커도 잘 보지 못하네."

 

褰裳躩步 執彈而留之

건상각보 집탄이류지

장주는 하의를 걷어올리고 살금살금 걸어가 활을 들고 겨냥했다.

 

睹一蟬方得美蔭而忘其身

도일선방득미음이망기신

그때 장주는 매미 한 마리가 그늘에서 쉬면서 자기 형편을 잊고 있는 것을 보았다.

 

螳蜋執翳而搏之 見得而忘其形

당랑집예이박지 견득이망기형

그러자 사마귀가 팔을 들어 매미를 쳐 잡았다. 사마귀는 먹이를 얻고는 자기 형편을 잊었다.

 

異鵲從而利之 見利而忘其眞

이작종이리지 견리이망기진

이어서 이상한 까치가 사마귀를 잡았다. 까치는 먹이를 얻고는 자기 형편을 잊었다.

 

莊周怵然曰

장주출연왈

장주는 놀라서 말했다.

 

噫 物固相累 二類召也

희 물고상루 이류소야

"아이고, 사물은 서로 엮여 있고 서로를 부르는구나."

 

捐彈而反走 虞人逐而誶之

연탄이반주 우인축이수지

장주는 활을 내던지고 도망쳐 나왔다. 그러자 산지기가 쫓아오며 욕설을 했다.

 

*

 

* 樊(번)= 울타리. 여기서는 '곁' '부근'.

* 睹(도)= 보다.

* 運(운)= 여기서는 '세로'.

* 感(감)= 여기서는 '스치다'.

* 集(집)= 여기서는 '내려앉다'.

* 殷(은)= 성하다. 많다. 여기서는 '크다'.

* 逝(서)= 가다. 여기서는 '날다'.

* 褰(건)= 옷자락을 걷어올리다.

* 躩(각)= 1. 빨리 걷다. 2. 천천히 걷다.

* 彈(탄)= 활.

* 留(류)= 여기서는 '겨냥하다'.

* 蔭(음)= 그늘.

* 身(신), 形(형), 眞(진)= self.

* 翳(예)= 깃 일산(日傘). 여기서는 사마귀의 팔을 가리킨다.

* 搏(박)= 치다. 잡다.

* 怵(출)= 두려워하다.

* 噫(희)= [감탄사].

* 累(루)= 여기서는 '묶다' '연결하다'.

* 捐(연)= 버리다.

* 虞人(우인)= 산지기.

  虞(우)= 여기서는 '벼슬 이름'.

* 誶(수)= 꾸짖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