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지북유(知北遊: 지가 북쪽을 둘러보다)... 1
*
知北遊於玄水之上 登隱弅之丘 而適遭無爲謂焉
지북유어현수지상 등은분지구 이적조무위위언
지가 북쪽의 현수 강가를 둘러보고, 은분 언덕에 올라 무위위를 만났다.
知謂無爲謂曰
지위무위위왈
지가 무위위에게 말했다.
予欲有問於汝 何思何慮則知道 何處何服則安道 何從何道則得道
여욕유문어여 하사하려즉지도 하처하복즉안도 하종하도즉득도
"내가 당신에게 물어볼 게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도를 알겠습니까? 어떻게 마음을 두면 도에 안주하겠습니까? 어떻게 따르면 도를 얻겠습니까?"
三問而無爲謂不答也 非不答 不知答也
삼문이무위위불답야 비불답 불지답야
세 가지를 물었으나 무위위는 답을 하지 않았다. 답을 하지 않은 게 아니라 답을 몰랐다.
知不得問 反於白水之南 登狐闋之上 而睹狂屈焉
지불득문 반어백수지남 등호결지상 이도광굴언
지는 물음에 답을 얻지 못하고, 백수의 남쪽으로 돌아와 호결 언덕에 올라 광굴을 만났다.
知以之言也問於狂屈
지이지언야문어광굴
지는 같은 말로 광굴에게 물었다.
狂屈曰
광굴왈
광굴이 말했다.
唉 予知之 將語汝
애 여지지 장어여
"어, 내가 알고 있으니 그대에게 말해 주리다."
狂屈中欲言 而忘其所欲言
광굴중욕언 이망기소욕언
광굴은 속으로는 말하고 싶었으나, 말할 걸 잊어먹었다.
知不得問 反於帝宮 見黃帝而問焉
지불득문 반어제궁 견황제이문언
지는 물음에 답을 얻지 못하고, 제궁으로 돌아와 황제(黃帝)를 만나 물었다.
黃帝曰
황제왈
황제가 말했다.
無思無慮始知道 無處無服始安道 無從無道始得道
무사무려시지도 무처무복시안도 무종무도시득도
"생각하지 않으면 도를 알고, 마음을 두지 않으면 도에 안주하고, 따르지 않으면 도를 얻는다."
知曰
지왈
지가 말했다.
我與若知之 彼與彼不知也 其孰是邪
아여약지지 피여피불지야 기숙시야
"나와 당신은 알고, 그들(무위위와 광굴)은 모르는데.. 어느쪽이 옳습니까?"
黃帝曰
황제왈
황제가 말했다.
彼無爲謂眞是也 狂屈似之 予與汝終不近也
피무위위진시야 광굴사지 여여여종불근야
"무위위가 진짜고, 광굴은 비슷하고, 나와 그대는 덜됐다."
知曰
지왈
지가 말했다.
我問於無爲謂 無爲謂不應我 非不應我 不知應我也
아문어무위위 무위위불응아 비불응아 불지응아야
"내가 무위위에게 물었더니, 무위위는 응하지 않았습니다. 응하지 않은 게 아니라, 응할 줄 몰랐습니다.
我問於狂屈 狂屈不告我 非不告我 中欲告而忘之也
아문어광굴 광굴불고아 비불고아 중욕고이망지야
내가 광굴에게 물었더니, 광굴은 말하지 않았습니다. 말하지 않은 게 아니라, 속으로는 말하고 싶었으나 잊어먹었습니다.
今我問於若 若知之 奚故不近
금아문어약 약지지 해고불근
이제 내가 당신에게 물으니, 당신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찌 덜됐다고 합니까?"
黃帝曰
황제왈
황제가 말했다.
彼其眞是也 以其不知也 此其似之也 以其忘之也 予與汝終不近也 以其知之也
피기진시야 이기불지야 차기사지야 이기망지야 여여여종불근야 이기지지야
"무위위는 진짜이기 때문에 몰랐다. 광굴은 비슷하기 때문에 잊어먹었다. 나와 그대는 덜됐기 때문에 알고 있다."
知聞之 以黃帝爲知言
지문지 이황제위지언
지는 이를 듣고 황제가 말에 대해 안다고 여겼다.
*
* 玄水之上(현수지상)의 上(상)= (강)가.
* 何(하)= 무엇. 어디.
* 何從何道則得道(하종하도즉득도)= 앞의 道는 '이끌다'(동사), 뒤의 道는 '도'(명사).
* 登狐闋之上(등호결지상)의 上(상)= 위.
* 睹(도)= 보다. 만나다.
* 以之言也(이지언야)= 그 말로. 같은 말로.
以(이)= ~로.
之(지)= [관형사] 그.
* 唉[애]= '어' 하고 대답하는 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