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18. 지락... 2
정덕수
2025. 2. 16. 19:14
*
天下之所尊者 富貴壽善也 所樂者 身安厚味美服好色音聲也
천하지소존자 부귀수선야 소락자 신안후미미복호색음성야
세상에서 높게 보는 것은 부귀, 장수, 호평이고.. 좋아하는 것은 몸의 편안함, 좋은 맛, 고운 옷, 예쁜 색깔, 노래 가락이다.
天下之所下者 貧賤夭惡也 所惡者 身不得安逸 口不得厚味 形不得美服 目不得好色 耳不得音聲
천하지소하자 빈천요악야 소오자 신불득안일 구불득후미 형불득미복 목불득호색 이불득음성
세상에서 낮게 보는 것은 빈천, 단명, 악평이고.. 싫어하는 것은 몸이 편안하지 않고, 먹는 게 맛이 없고, 옷이 곱지 않고, 색깔이 예쁘지 않고, 노래 가락이 없는 것이다.
若不得者 則大憂以懼 其爲形也 亦愚哉
약불득자 즉대우이구 기위형야 역우재
(富貴壽善 身安 厚味 美服 好色 音聲을) 얻지 못하면 근심 걱정하니, 그 모양새가 참 어리석다.
*
* 富貴壽善(부귀수선)의 善(선)= 좋다고 하다(호평).
* 貧賤夭惡(빈천요악)의 惡(악)= 나쁘다고 하다(악평).
* 所惡者(소오자)의 惡(오)= 싫어하다.
* 形不得美服(형불득미복)의 形(형)= 몸. 신체. body.
* 其爲形也(기위형야)의 形(형)= 형태. 모양. shap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