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요유... 13D
*
莊子曰
장자왈
장자가 (혜자에게) 말했다.
子獨不見狸狌乎
자독불견리성호
"그대는 너구리를 모르나요?
卑身而伏 以候遨者 東西跳梁 不避高下 中於機辟 死於網罟
비신이복 이후오자 동서도량 불피고하 중어기벽 사어망고
몸을 낮추고 엎드려서 사냥감을 노려야 할 판에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설치다가 덫에 치이고 그물에 걸립니다.
夫犂牛 其大若垂天之雲 此能爲大矣 而不能執鼠
부려우 기대약수천지운 차능위대의 이불능집서
겨릿소가 하늘에 구름을 드리운 듯 크지만, 덩치만 컸지 쥐 한 마리를 잡지 못합니다.
今子有大樹 患其無用
금자유대수 환기무용
지금 그대는 큰 나무를 가지고 있으면서 쓸모가 없다고 근심하는데..
何不樹之於無何有之鄕 廣漠之野 彷徨乎無爲其側 逍遙乎寢臥其下
하불수지어무하유지향 광막지야 방황호무위기측 소요호침와기하
어찌 이상향의 너른 들에다 심어놓고, 일 없이 부근을 어슬렁거리거나 그늘에서 한갓지게 누워자지 않습니까?
不夭斤斧 物無害者 無所可用 安所困苦哉
불요근부 물무해자 무소가용 안소곤고재
도끼 같은 것이 해칠 리 없으니, (그 나무가) 쓸모는 없더라도 골칫거리야 되겠습니까?"
*
* 獨(독)= 여기서는 '어찌'.
* 狸(리)= 너구리.
* 狌(성)= 성성이. 족제비.
* 卑(비)= 낮다. 낮추다.
* 候(후)= 동정을 살피다.
* 遨(오)= 놀다.
* 跳梁(도량)= 뛰어다니다.
跳(도)= 뛰다.
梁(량)= 들보. 다리. 징검돌.
* 機辟(기벽)= 덫.
* 罟(고)= 그물.
* 犂牛(려우)= 겨릿소.
犂(려)= 쟁기.
* 無何有之鄕(무하유지향)= 아무데도 없는 고장. 즉 이상향.
* 彷徨(방황)= 오가다.
* 逍遙(소요)= 노닐다.
* 夭(요)= 일찍 죽다.
* 斤(근)= 도끼.
* 斧(부)= 도끼.
* 安(안)= 여기서는 '어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