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1. 소요유... 4
정덕수
2024. 12. 26. 09:17
*
蜩與學鳩笑之曰
조여학구소지왈
쓰르라미와 메뚜기가 웃으며 말했다.
我決起而飛 搶楡枋 時則不至而控於地而已矣 奚以之九萬里而南爲
아결기이비 창유방 시즉불지이강어지이이의 해이지구만리이남위
"우리는 뛰어올라 봤자 나무 줄기에 가닿고, 때로는 거기에도 못 미치고 땅에 떨어지고 만다. 어찌 구 만리를 날아 남으로 가는가?"
適莽蒼者 三飧而反 腹猶果然 適百里者 宿舂糧 適千里者 三月聚糧
적망창자 삼손이반 복유과연 적백리자 숙용량 적천리자 삼월취량
교외에 놀러갔던 자는 세 끼만 때우고 돌아와도 배가 거뜬하지만.. 백리를 가는 자는 밤새 식량을 찧고, 천리를 가는 자는 석달 식량을 모은다.
之二蟲 又何知
지이충 우하지
저 두 벌레가 무얼 알겠는가?
*
* 蜩(조)= 쓰르라미. 매미.
* 學鳩(학구)= 메뚜기(?).
* 搶(창)= 부딪다.
* 楡(유)= 느릅나무.
* 枋(방)= 나무 이름.
* 控[강]= 치다.
* 奚以之九萬里(해이지구만리)의 之(지)= 가다(行).
* 適(적)= 가다.
* 莽(망)= 풀숲.
* 蒼(창)= 푸르다.
* 飧(손)= 끼. 끼니.
* 舂(용)= 곡식을 찧다.
* 聚(취)= 모으다.
* 之二蟲(지이충)의 之(지)= [지시 관형사] 그. 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