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13. 자로... 4 樊遲
정덕수
2024. 11. 30. 07:44
*
樊遲請學稼 子曰 吾不如老農 請學爲圃 曰 吾不如老圃 樊遲出 子曰 小人哉 樊須也 上好禮 則民莫敢不敬 上好義 則民莫敢不服 上好信 則民莫敢不用情 夫如是 則四方之民襁負其子而至矣 焉用稼
*
번지청학가 자왈 오불여로농 청학위포 왈 오불여로포 번지출 자왈 소인재 번수야 상호례 즉민막감불경 상호의 즉민막감불복 상호신 즉민막감불용정 부여시 즉사방지민강부기자이지의 언용가
*
번지가 농사를 배우고자 청하니, 공자가 말했다. "나는 노련한 농사꾼이 아니다."
번지가 밭농사를 배우고자 청하니, 공자가 말했다. "나는 노련한 밭농사꾼이 아니다."
번지가 나가자, 공자가 말했다. "번수(번지)는 소인이구나. 윗사람이 예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공경하고, 윗사람이 의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복종하고, 윗사람이 신뢰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정을 준다. 이렇게 하면 사방 백성이 자식을 들쳐업고 몰려올텐데, 농사를 무엇에 쓰나?"
*
* 稼(가)= 농사.
* 老(로)= 여기서는 '숙달되다(노련하다)'.
* 圃(포)= 밭.
* 襁(강)= 포대기. 강보(襁褓).
* 負(부)= 업다.
* 焉(언)= 어찌. 어디.
*